원희룡 신사참배 빗대 논란
김용수 위원장 강력 비판
탐라국부터 위민정신 담겨
"망언 취소, 도민 사과해야"

2014년 우근민 당시 도지사가 초헌관을 맡아 한라산신제를 봉행하고 있다. 자료사진
2014년 우근민 당시 도지사가 초헌관을 맡아 한라산신제를 봉행하고 있다. 자료사진

원희룡 국토부장관이 7년간 제주도지사 재임시절 한라산신제 집전 거부를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거부에 비유하는 등 한라산신제를 폄훼하면서 도민사회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오영훈 도지사가 지난 7일 "제주인의 자존감을 훼손하지 말라"고 비판한데 이어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신제봉행위원회도 원 장관의 발언에 대해 불쾌감을 드러내며 "한라산신제 폄훼 발언을 취소하고 도민들에게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김용수 한라산신제봉행위원장은 8일 본보와 인터뷰를 갖고 "원희룡 장관이 도지사 재임 당시 조례에 규정된 초헌관을 맡지 않은 것은 국태민안과 도민안녕을 기원해온 전통과 도제라는 성격상 도지사가 집전해온 관례와 맞지 않다"며 "이에 그치지 않고 한라산신제를 종교행사로 치부하고 심지어 신사참배 거부에 비유한 것은 한라산신제봉행위원회 뿐만 아니라 제주도민을 우롱하고 모욕한 것이다. 즉각 망언을 취소하고 도민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한라산신제는 종교와 관계없이 탐라국 시대부터 이어온 유구한 전통문화 계승·발전 차원에서 봉행하는 것"이라며 "아라동 주민들이 일제강점기에도 명맥을 이어온 것을 제주도가 2012년 한라산신제 조례를 제정해 도제로 격을 높였는데 도백으로서 당연히 산신제를 집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피력했다.

한라산신제봉행위원회가 발간한 '한라산신제의 원형 발굴과 복원을 위한 학술조사 보고서'와 관련 자료에 따르면 한라산신제는 고대부터 시작돼 인류 문명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한라산신에 대한 제례는 국태민안을 빌기 위해 명산대천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예에 따라 탐라국시대부터 탐라국의 국태민안을 지키기 위한 국제로 거행돼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탐라국이 해체되는 고려 숙종 10년(1105년) 이후에도 계속됐다.

산신제가 치러진 장소는 한라산 정상 북벽이었고 문헌상 고려 고종 40년(1253년) 10월 국내 명산과 탐라의 신에게 각각 제민의 호를 내리고 봄·가을마다 산신제를 올리도록 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성종 원년(1470년) 산신제 장소를 한라산 정상에서 현재의 산천단으로 옮겼다는 기록이 있고, 1908년 일제에 의해 강제로 폐지된 이후에도 산천단 마을 주민들이 2008년까지 봉행하면서 명맥을 유지했다.

2009년에는 한라산신제를 아라동 행사로 이관해 마을제와 분리 봉행했고, 2012년 한라산신제 조례가 제정되면서 도지사가 집전하는 도제로 치러지고 있다. 

산신제를 집전하는 초헌관은 김태환 전 지사가 민선 제주시장이던 2000년에 맡은 것을 시작으로 도지사 당선 이후 2010년에도 초헌관을 맡았고, 우근민 전 지사도 2014년 초헌관을 맡은 바 있지만 이후 원희룡 전 지사는 재임 7년간 초헌관을 맡지 않아 도백으로서 공인의 의무를 저버렸다는 비판을 받았다.

한편 2012년 제정된 '제주도 한라산신제 봉행위원회 지원 등에 관한 조례'는 산신제 초헌관을 도지사가 당연직으로 맡도록 규정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