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러차례 도너리오름에서부터 문도지오름 쪽으로 방향을 잡았지만 가시덤불 속을 헤쳐나가다보면 어느새 엉뚱한 방향으로 나오곤 했다. 이번에 탐사팀이 출발 장소를 처음부터 문도지오름 쪽으로 정해 문도지오름과 도너리오름 사이의 곶자왈 지대를 살펴보기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문도지오름은 행정구역상으로는 북제주군 한림읍 금악리 남쪽의 산간 변두리에 해당한다. 북제주군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5.22 20:37
-
도너리오름 남측 곶자왈 식생은 팽나무, 때죽나무, 후박나무, 까마귀베개, 곰의말체, 새덕이 및 소태나무가 우점하는 맹아림이다.이러한 식생은 제주도 서측으 금악 및 서광 등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교래 등 동측으 곶자왈과는 종 조성 및 식생양식이 다르다. 대표적인 예로서 소태나무 군락, 세뿔석위 군락, 넉줄고사리 군락, 큰도둑놈의갈고리 군락 등이 매우 발달하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5.15 21:24
-
상록성 다년생 양치식물로서 건조한 바위나 나무에 붙어 자라는 착생 양치식물이다. 지금까지 국내 분포지는 남제주군 안덕면 서광리 일대로 알려져 있으나, 돌오름 주변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됐다.잎은 단엽으로서 일엽초, 우단일엽 등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잎은 두터운 가죽질로서 뒷면에 다세포성 방사상 털이 있고, 포막이 없는 포자낭군이 달린다.전체적으로 유사종인 우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5.15 21:13
-
세상 푸른빛을 다 뿜어내려는가.곶자왈이 빚어낸 신록은 오름과 오름을 넘어 한라산 자락으로 물결친다.취재반은 금악리에서 저지리 방향으로 1.5㎞쯤 가다 왼쪽으로 난 목장길을 따라 곶자왈로 들어갔다.문도지오름 북쪽에 자리잡은 상명리 마을목장은 동쪽으로는 지금은 블랙스톤리조트 조성사업부지인 옛 금악리 마을목장과 맞닿아 있다.목장 곳곳에 곶자왈용암류와 나무들이 남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5.15 21:12
-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저지대의 계곡이나 동굴 입구 등지에 매우 드물게 자란다. 도내에서는 김녕굴·소천굴 등 동굴의 함몰지대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잎맥은 양쪽에 뚜렷하게 나타나고 잎은 먹물에 담근 듯한 녹색이다. 포자낭군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지름이 5mm정도인데 중근의 양쪽에 2-4열로 불규칙하게 달리며 드물게 1열로 달리는 경우도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5.09 14:26
-
◈"쇠고비·나도히초미 등 생동하는 고사리 정원 연상" 이 지역은 해발고가 낮고 방목이나 인위적인 간섭이 많아 난대성 이차림이 분포하는 곳으로 예덕나무, 팽나무, 담쟁이덩굴, 청미레덩굴 등 이차림요소 들의 분포가 많으며, 상층목의 수종이나 피도가 변함에 따라 하층식생의 변화를 보이는 생태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낙엽활엽수림지역의 교목층에는 팽나무, 단풍나무,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5.09 14:24
-
봄, 따스한 햇살과 알맞게 내리는 비를 받고 자라는 들풀의 생명력을 누가 막을까.어느새 자란 들풀과 나무들은 곶자왈을 녹색바다로 만들어 놓았다.돌오름 북쪽 목장길을 100여m를 내려오다 왼쪽 곶자왈지대로 들어섰다.마을에서 숲가꾸기사업으로 작은나무와 덩굴류들을 잘라낸 흔적이 여기저기 보인다.햇빛이 잘들어 양지성 잡초들이 다른 곶자왈보다 많이 눈에 띈다.곶자왈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5.08 20:47
-
고사리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보통 산 속의 나무 밑에서 자라며 여름꽃고사리라고도 한다. 뿌리줄기는 가늘고 짧으며 곧게 또는 비스듬히 자라고 큰 뿌리를 많이 낸다. 전체 높이는 30∼70㎝이고, 높이 15∼30㎝ 지점에서 영양엽과 포자엽이 갈라진다.영양엽은 잎자루가 없고 윤이 도는 녹색이며 3∼4회 깃꼴로 갈라지고 양쪽 잎조각이 특히 크기 때문에 가운데 잎조각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5.01 20:25
-
돌오름에서 이어지는 곶자왈 시점부는 방목지역과 2차림지역으로 구분된다.돌오름 자락으로 비교적 완만한 형태의 지형과 곶자왈 용암층에 형성된 2차림의 식생과 식물상은 조천·교래 지역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시점부는 일반적으로 방목과 인위적인 간섭으로 쥐똥나무, 구지뽕나무, 찔레 등의 관목류가 우점하는 단순군락을 형성하지만 점차 단풍나무, 팽나무,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5.01 20:24
-
신록이 더욱 싱그러움을 더해 가는 4월 하순, 탐사팀이 월림·신평 곶자왈 지역을 두번째로 찾은 것은 전날까지 많은 비가 내리고 난 뒤였다.탐사팀은 돌오름의 말발굽형 분화구 방향을 따라 나오다 한림읍 금악리 방면으로 방향을 잡았다.그런데 돌오름 분화구는 분명히 북서쪽을 향하고 있는데 곶자왈 용암은 어떻게 광범위한 지역을 덮으면서 한경면과 대정읍 방면으로 나뉘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5.01 20:21
-
곶자왈 용암은 한라산체의 동·서부 지역으로 비교적 넓게 분포하고 있다. 이번 탐사 장소는 제주도 서부의 도너리오름에서 분출한 곶자왈 용암이 한경과 안덕 지역으로 흘러 분포하고 있는 한경-안덕 곶자왈 지대다.도너리오름의 지하 지질을 살펴보면 맨 밑에 침상장석감람석현무암이 분포하고 있고, 이 현무암을 탐라층이 피복하고 있다. 지하에서 용융된 마그마가 상승, 해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4.24 21:11
-
조천-함덕곶자왈에 대한 탐사는 계절이 두 번 바뀐 후에야 끝났다.하지만 볼 때마다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오는 곶자왈 탐사에는 시간이 짧기만 했다.취재반은 아쉬움을 뒤로한 채 두 번째 곶자왈탐사지인 한경-안덕곶자왈지대에 대한 탐사를 시작한다.한경-안덕곶자왈지대는 월림-신평곶자왈과 상창-안덕곶자왈 두 곳으로 나뉜다.월림-신평곶자왈은 안덕면 동광리 산 90번지 일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4.24 21:08
-
올해 신년호(1월 1일자)부터 보도되기 시작한 제민일보 곶자왈 대탐사가 5개월째를 넘기면서 첫 탐사지역인 조천·함덕 곶자왈 지대 탐사를 마쳤다. 한겨울에도 푸른 기운을 마음껏 발산하고 있는 곶자왈 지대의 식생을 소개해오면서 그동안 ‘버려진 땅’으로 인식돼온 곶자왈을 ‘소중하게 보존하고 지켜나가야 할 자연자원’으로 도민들에게 새롭게 각인시키는 계기가 됐다.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4.17 20:57
-
늡서리오름 주변 곶자왈은 교래-대흘 곶자왈을 대표하는 팽나무, 단풍나무, 때죽나무 등 양수가 우점하는 2차림이지만 생태학적인 특이성을 갖고 있다.일반적으로 제주도는 해발 600m이하 지역은 기후적으로 난대림이 극상림을 이루는 곳이지만, 이 지역의 곶자왈은 이를 의심할 만큼 식생구조와 그 양상이 다르다. 즉 이곳의 숲은 교목층만으로 보면 여느 2차림과 유사하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4.10 20:05
-
봄 소식을 먼저 전하는 것은 집에서 애써 키워온 꽃과 나무보다 산과 들에서 밟고 베어냈던 들풀과 들꽃이다.겨우내 잔설을 이고 자란 들꽃과 풀은 어느새 잎과 꽃을 틔워낸다.취재반이 늡서리오름과 큰지그리오름 일대를 찾았을 때는 곶자왈은 벌써 바지런한 들꽃들로 물들고 있었다.늡서리오름 옆으로 난 목장길을 따라 큰지그리오름쪽 곶자왈지대로 들어섰다.늡서리오름 주변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4.10 20:05
-
“곶자왈 지역 인근의 주민들은 예로부터 산전(山田)을 일구며 살았습니다”탐사팀과 함께 조천 대흘 곶자왈 일대를 찾은 고성규 할아버지(73·조천읍 교래리)는 곶자왈 지역과 목장의 경계 주변 일대가 일제시대 때까지 오랫동안 경작지로 활용돼 왔다고 밝혔다.고 할아버지 말에 따르면 곶자왈 중심지역은 워낙 바위 투성이라 밭을 일굴 엄두를 내지 못했지만, 곶자왈 주변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4.02 20:33
-
오름을 휘감는 바람이 아무리 봄 기운을 실었다 해도 매섭다.취재반은 조천대흘곶자왈을 한눈에 살피기 위해 바농오름을 올랐다.북제주군 조천읍 교래리 산 108번지에 있는 바농오름은 높이가 552m로 동부관광도로에서 남조로를 따라 2㎞가량 가면 길 오른쪽에 있다.오름 동쪽 삼나무 조림지를 지나 꼭대기로 올랐다. 바농오름 대부분이 침엽수와 낙엽수로 덮여 있으나 오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4.02 20:32
-
늡서리오름 바깥쪽 사면의 가장자리는 방목지인 초지와 인접하고 있으며 찔레, 청미래덩굴 등이 형성돼 있다.2차림이 시작되는 안쪽 사면에는 교목층에 낙엽활엽수인 때죽나무, 서어나무, 팽나무, 비목, 올벚나무 등이 폭넓게 분포한다. 또 관목층으로는 상산, 윤노리나무, 새비나무가 있고 초본층에는 복수초, 마삭줄, 송악, 새끼노루귀, 괭이눈 등이 우점하고 있다. 특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3.19 21:59
-
고사리목 고란초과의 상록성 양치식물인 숟갈일엽은 바위나 나무에 붙어 자라는 착생식물의 일종이다.주로 아열대와 난대 지역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제주도의 돈내코 계곡 등 습도가 높은 계곡 주변에서만 발견된 바 있으나 지난번 동백동산 탐사에 이어 이번 탐사 지역에서도 발견돼 곶자왈의 독특한 식생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특히 숟갈일엽은 잎 길이가 1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3.19 21:58
-
이제는 곶자왈에도 봄이다.겨우내 눈과 비하고 씨름하던 탐사반에게 봄철 탐사는 곶자왈에서 남모르게 피어나는 봄꽃을 볼 수 있다는 덤이 있어 좋다.탐사반은 늡서리오름 옆으로 난 길을 따라 곶자왈지대로 들어섰다.탐사반이 늡서리오름옆 목장길을 따라 북서쪽으로 200여m를 들어간 뒤 곶자왈지대로 발길을 옮기자 노란 복수초 무리가 반겼다.남보다 먼저 봄빛을 전하는 기
지난 연재
제민일보
2003.03.19 2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