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관련단체들은 성명에서 “육지형무소로 보내진 사람들 상당수는 군·경의 대토벌을 피해 이 계곡, 저 산속으로 숨어들어 상황이 나아지기를 기다리던 선량한 주민들이었다”며 “49년 봄 선무공작이 실시돼 내려오면 살려준다는 발표에 기대를 걸고 해안지대로 내려온 것”이라고 말했다.
4·3관련단체들은 또한 “당시 치러진 군사재판은 공식적 재판절차를 무시한 형식적인 통과의례에 불과했고, 이들은 자신들이 무슨 죄를 지었는지도 몰랐고 자신들의 형량도 형무소에 가서야 들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4·3관련단체들은 이어 “우리 아버지, 형제들을 죄인으로 규정하고 위령도 못하게 하는 당신들의 망언과 폭언에 대해 지나칠 수 없다”며 “만약 책임있는 답변이 이뤄지지 않을 시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김종민 기자>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스릴넘치는 카지노게임을 언제 어디서나
대박찬스 바로 당신이 주인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