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가 까다로워 신고실적이 저조한데다 4·3위원회와 실무위원회 구성이 늦어지면서 피해사실 조사와 후유장애자 치료비 결정 등에 상당한 차질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4·3희생자 및 유족신고를 받기위해 지난 8일 도와 시·군 및 읍면동·출장소 민원실에 신고접수창구를 설치했다. 다른 시·도와 외국에 거주하는 재외도민들은 제주도민단체와 재외공관 등에 신고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13일 현재까지 신청서를 제출한 4·3희생자 및 유족은 모두 29명.
제주시 19명·북제주군 7명·서귀포시 3명이고 남제주군과 도민단체·재외공관 등에는 단 1건도 접수되지 않았다.
특히 후유장애자인 경우 그나마 신청을 하고싶어도 장애진단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병원이 여태 지정되지 않아 첨부 서류를 갖추는데 애를 먹고 있다.
병원이 지정되지 않은 것은 국무총리 산하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구성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덩달아 4·3실무위원회의 위원 선정도 늦춰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실무위의 피해신고에 대한 사실조사 업무에도 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후유장애자의 향후 치료비를 추정하지 못하는 경우에 실무위가 금액을 결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또한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
이와관련 도 관계자는 “재외도민들의 신고를 활성화하기 위해 관서제주도민회와 재일본 제주도민협회·선대제우회 등에 접수창구 설치 협조를 요청했다”며 “위원회가 구성되는대로 곧바로 실무위 구성에 나서겠다”고 말했다.<이태경 기자>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스릴넘치는 카지노게임을 언제 어디서나
대박찬스 바로 당신이 주인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