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특성 맞는 전문 업무 부여 지침 ‘단기 채용’ ‘조직 특수성’ 등 적용 한계
소속감 결여·‘입맛에 맞는 일’ 호불호 뚜렷…기준 제각각 혼선도
청년 실업 해소책으로 쏟아지고 있는 ‘인턴제’에 대한 좋지 않은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시작부터 ‘고학력’ 기준으로 논란을 빚은 것도 모자라 난데없는 제도 도입에 다른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5일 관련 기관 등에 따르면 청년 실업 해소를 위해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에 이어 최근 금융권에서도 인턴 채용 계획을 내놨다.
우수 인력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고는 하지만 대부분 1년 이내의 단기채용인 탓에 6~10개월에 불과한 계약이 끝나면 다시 ‘실업’상태가 되는 등 효과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단순 업무 중심의 기존 인턴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올해부터 전공과 특성에 맞는 업무를 부여하도록 하는 지침이 내려졌지만 ‘경력’이 될만한 전문적인 업무를 맡게 될지도 미지수다.
경찰청 인턴의 경우 주로 교통행정과 지구대 서무 업무를 맡게 된다.
전공과 자격증 소지여부에 따라 원스톱 센터나 외사계·사이버수사대 등에 배치될 수 있지만 수사의 기밀유지 또는 개인 신분 보호가 필수인 조직의 특성상 단순보조업무 이상을 맡기긴 어렵다.
당장 일자리가 절실하다는 수요자들의 반응도 미온적이다.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청은 특수교육과 방과후 학교 교육지원 등 전공과 경력에 맞는 다양한 분야의 인턴직을 채용할 계획이었지만 서류전형에서 본청과 제주시 동지역에 근무하는 ‘방과후 학교 지원’분야가 최고 6.5대 1의 경쟁률을 보인 반면 서귀포시와 제주시 읍·면지역 도서관 근무 희망자는 단 1명도 없었다.
지난달 22~26일 접수된 경찰행정인턴의 경우도 경찰행정 등 단순 사무 보조에는 지원자가 몰렸던 반면 동·서부와 서귀포경찰서의 장비관리 분야에는 단 1명도 지원하지 않았다.
지난달 1차로 선발된 제주해경 행정인턴 4명 중 1명은 일찌감치 불편한 출근을 포기했다.
여기에 5개 분야(5명)에서 지원자를 찾지 못한 경찰행정인턴은 아직 추가 모집에 대한 지침이 내려오지 않은 상태고, 처음 4명을 배정 받았던 제주해경 행정인턴은 ‘적은 것’같다는 판단에 3명을 증원하기 위한 추가모집을 실시하는 등 임시방편의 허점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특히 금융권 인턴 모집이 시작되면 이들 인력 간 부침현상도 두드러질 것으로 우려되는 등 적잖은 후유증도 예고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인턴에게 일을 맡긴다고 해도 ‘계속 고용’이 보장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업무 연속성이 떨어지는 등 불편이 더 많다”며 “근본적인 개선책이 나오지 전까지는 인턴을 희망하는 쪽이나 받는 쪽 모두 부담”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