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말에 대한 이해]잘 가려야 할 씨끝 ‘-저’와 ‘젱, -젠’(3)

앞 글에서는 서술법씨끝 ‘-저1’이나 그 변이형태 ‘-다, -아(씨끝 ‘-아’는 ‘-다’의 변이형태로 쓰인 것인데 ‘-아1’로 해둠)’들은 움직씨에 쓰여서 때소 ‘-ㄴ’과 호응할 때는 줄기에 바로 붙어 쓰이는 일은 없고, 줄기와 씨끝 ‘-저1’나 ‘-다, -아1’ 사이에 동작상이나 다른 안맺음씨끝이 쓰여야만 바른 쓰임이 된다고 했습니다. 이렇게 때소 ‘-ㄴ’과 호응하는 마침법씨끝들 곧, 서술법은 물론 물음법씨끝이라도, 언제나 움직씨에 쓰일 때는 줄기와 씨끝 사이에 안맺음씨끝이 있어야만 쓰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중요한 규칙이 됩니다. 여기서는 ‘-저1’과 그 변이형태 ‘-다, -아1’가 그림씨에 쓰일 때를 보겠습니다.

ㄱ. 영흰 얼굴이 *곱저 - 곱다 -고와./영희는 얼굴이 곱다.

ㄴ. 영흰 얼굴이 고왐저 - 고왓저 - 고와낫저./영흰 얼굴이 (?)고와지고 있다 - (?)고운 상태로 있다 - 고왔었다.

ㄷ. 영흰 얼굴이 고왐다 - 고왓다 - 고와낫다.

ㄹ. 영흰 얼굴이 고왐서 - 고와서 - 고와나서.

위 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1’이 그림씨줄기 ‘곱-’에 바로 쓰이는 일은 없습니다. ‘-저1’은 ‘잇-, 읏-’이 아닌 다른 그림씨에서도 줄기에 바로 쓰이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그 변이형태인 ‘-다, -아1’들은 그림씨줄기에도 바로 붙어 쓰입니다. 이 점도 잘 가려야 합니다.

그런데 ㄴ에서는 줄기와 ‘-저1’ 사이에 동작상이 쓰이니까 ‘고왐저, 고왓저, 고와낫저’로 ‘-저1’이 쓰였습니다. ‘고왐저’나 ‘고왓저’는 표준어로는 풀이가 어렵지만 쓰입니다. 그리고 ㄷ에서처럼 요즈음은 ‘고왐다’나 ‘고와낫다’라고 하는 일도 있습니다. 그리고 ㄹ에서도 동작상에 ‘-아1’이 같이 쓰였습니다. ‘잇다/잇저/이서’나 ‘읏다/읏저/읏어’, ‘감다/감저/감서’들은 모두 같은 뜻으로 쓰여 씨끝 ‘-저1’과 ‘-다’나 ‘-아1’이 변이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표준어로는 쓰임이 의심스러운 표현. / 송상조 문학박사·㈔제주어보전회 고문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