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말에 대한 이해]‘이시-, 시-, 잇-, 싯-’과 마침법씨끝들의 쓰임(9)
앞에서는 ‘이시-’에 ‘-아/어’가 물음법으로 쓰여 때소 ‘-ㅇ, -ㄴ’과 호응하는 현상을 보았습니다. 그래서 때소 ‘-ㅇ’과 호응하는 ‘-아/어’는 ‘-아/어’1로, ‘-ㄴ’과 호응하는 ‘-아/어’는 ‘-아/어’2로 나누어 둡니다. 이 ‘-아/어’는 제주말 높임법으로는 예사낮춤이 되기 때문에 ‘-아/어’1은 ‘-는가, -는고’로, ‘-아/어’2는 ‘-은가, -은고’로 바꿔 쓸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 대답은 같은 꼴 ‘-아/어’나 ‘-주’ 정도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여기서도 ‘-아/어’나 ‘-주’는 쓰이는 자리에 따라 어깨번호로 ‘1, 2’로 나뉘게 됩니다.
ㄱ. 그 옷 입으민 춥당도 아 - 는가?/그 옷 입으면 춥다가도 따뜻해 - 따뜻하는가?
ㄴ. 으, 그 옷 입으민 춥당도 아 - 주/그래, 그 옷 입으면 춥다가도 따뜻해 - 따뜻하지.
ㄷ. 그 옷 입으난 춥단도 아 - 은가?/그 옷 입으니깐 춥다가도 따뜻해 - 따뜻한가?
ㄹ. 으, 그 옷 입으난 춥단도 아 - 주./그래, 그 옷 입으니깐 춥다가도 따뜻해 - 따뜻하지.
위는 그림씨줄기에 ‘-아/어’가 바로 붙어 때소와 호응하면서 쓰이는 보기인데, ㄱ의 ‘는가’는 표준어에서는 안 되는데 제주말로는 쓰입니다. 그래서 ㄱ의 물음에 ㄴ으로, ㄷ의 물음에는 ㄹ로 대답하였습니다. 여기서는 모두 ‘아’로 같은 ‘-아/어’가 쓰였지만 앞의 ‘춥당, 춥단’은 다릅니다. 그러니까 ㄱ, ㄴ에 쓰인 ‘아 - 주’와 ㄷ, ㄹ의 것과는 꼴은 같은데 뜻이 다른 것입니다. 그 근거는 움직씨에 쓰였을 때 더 확실하게 드러납니다. / 송상조 문학박사·㈔제주어보전회 고문



5/억이상 출/금자 20명이상 배출 http://vcv89.com
5/억까지 스/피드 출/금 고객맞춤 1:1 안전계좌 운영
첫입/금시 10프로 추가 충/전 http://vcv89.com
▣ 24_시간 1:1상담 및 콜 센_터 운_영(방법도 설명해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