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턱과 머리뼈가 만나는 부위를 악관절이라 한다. 악관절은 턱운동을 할 때 지렛대역할을 하는 중요한 관절이다. 악관절장애는 갑자기 입이 벌어지지 않거나(개구장애) 어느 날 갑자기 하품을 하다가 입이 다물어지지 않아서 발생한다. 이럴 때 귀 앞 관절에서 뼈가 어긋나 소리(연발음)가 나거나 현기증을 일으키고 입맛의 변화로 저작곤란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 밖에도 얼굴이 붓는 느낌, 귀의 충만감, 귀울림, 눈물, 눈이나 코의 충혈, 지각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평상시에 이를 악물거나 충격, 구타, 입술이나 뺨 깨물기 등의 외상 및 나쁜 습관에 의해 생긴다.

또한 우울, 긴장, 스트레스, 위아래 치아가 서로 잘 맞물리지 않는 부정교합 등에 의해 생기기도 한다. 요즘은 20∼30대 직장인과 수험생들에게 악관절장애가 자주 나타난다. 주로 긴장과 불안감, 과로 등에 의한 스트레스가 원인이다.

치료로는 약물·교합안정장치· 물리치료 등이 있다. 교합안정장치 치료는 턱관절, 근육 및 치아보호, 이갈이 치료 등을 한다. 물리치료로는 초음파·레이저 치료, 약물이온도입 치료 등을 한다.

위와 같이 치료할 경우 80∼90%의 치료효과가 있는데 이 치료도 효과가 없을 경우엔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김대준·제일치과 원장>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