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 안형건 사무국 부장은 “우리 사회는 여유가 있는 사람만 기부를 하는 것처럼 인식이 잘못돼 있다”며 척박한 기부문화에 대해 말한다. 전 재산의 사회기부가 아니라 일상적인 소액 기부자가 많아져야 한다는 얘기다. 그래야 맑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웃의 지원을 기다리는 이들은 늘고 있지만, 기부는 줄어들어 지역사회의 그늘은 더욱 짙어지고 있다. 도내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1만9234명. 그나마 이들은 국가로부터 생계비와 의료비를 지원 받고 있으나 저소득층, 어린이 백혈병, 난치병 등으로 고생하는 대다수의 이웃은 사회로부터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동모금회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올 1월말까지 도내 평균 기부액은 1인당 600원으로, 상대적으로 인구가 많은 전남 851원·충남 828원·경북 750원에 훨씬 미치지 못하고 있다.
도내 기부금 모금액도 2000년 9월부터 올 9월까지 5억6176만여원으로 기업체가 낸 1억6498만원보다 개인 기부액이 1억8887만여원으로 오히려 많은 실정이다. 특히 불우이웃 돕기를 비롯한 신문사 주관으로 펼쳐지는 모금행사에 참여하거나 연말연시 복지시설에 일정액을 지원하는 ‘반짝 기부’등 소극적인 기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제주시내 사회복지시설 관계자는 “겨울이 닥치면서 자녀를 보육원에 맡기고 싶다는 문의전화가 걸려오는 등 경제적 고통은 심해지고 있으나 불우이웃을 돕겠다는 방문·후원은 계속 줄고 있다”고 말했다.
도내를 빠져나가는 불우이웃 성금규모도 크다. 제주지역에 진출해 있는 정부기관 및 금융기관, 대기업들이 모은 기부성금마저 본사를 통해 중앙에 기탁하고 있어 지역사회의 불우이웃들이 혜택을 보지 못하는 현실이다. 이웃돕기 성금이 지역 모금회에 모이면 성금 전액이 도내 불우이웃에게 혜택이 돌아가지만 본사를 통해 중앙 모금회에 기탁되면 정작 지역으로 환원되는 성금 규모는 전체의 5%에도 채 미치지 못한다는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김진석 제주도 사회복지담당은 “정부기관과 금융기관, 대기업체가 지역모금회 기탁을 외면하고 있다”며 “이들 대기업과 금융기관 등을 통해 도외로 유출되는 지역자금이 연 5000억원을 넘어서는 현실을 감안할 때 지역환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도내 시민단체의 재정자립도가 열악한 현실도 기부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시민단체 운영은 대부분 회원이 내는 회비로 이뤄져야 하는 게 당연하다. 그러나 회비수입이 운영비의 40%를 넘는 도내 시민단체가 한군데도 없는 실정이다. 프로젝트를 통한 지원금을 받거나 기관, 단체 등의 후원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같은 원인은 시민운동이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우선이지만 함께 참여하지 않고 결과물만 가지려는 일부 시민들의 ‘무임승차 의식’도 한몫 한다.
제주경실련 김명범 사무국장은 “회원이 500여명에 이르지만 꾸준히 회비를 내는 회원은 30%에 이른다”며 “시민들이 시민단체의 성과는 공유하면서도 적극적인 후원을 위한 의지는 부족한 편”이라고 말했다.
이젠 반짝 기부에 치중하는 기부관행을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기부문화로 바꾸고 확산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져가고 있다. 기부문화가 일천한 지역사회에서 ‘기부는 더 이상 적선이 아니다’라는 인식이 뿌리내려야 한다는 것. ‘노블리스 오블리제’(가진 자의 의무)를 제주도민의 자존심으로 여겨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지역 사회에 기부문화가 제대로 정착하기에는 많은 과제를 남기고 있다. 또한 기부가 활성화되려면 사회제도적 장치구축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스릴넘치는 카지노게임을 언제 어디서나
대박찬스 바로 당신이 주인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