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어린 아이들은 호기심이 많은 반면 주의력이 약해 순간적으로 사고를 당하기 쉽다. 사고로 자녀가 다쳤을 경우 응급처치 요령을 모르면 상처를 악화시키고 영구적인 손상을 입게될 수 있어 평소 가정에서 응급처치요령을 익혀두어야 한다.
대부분의 시간을 가정에서 보내는 1∼3세 유아들은 소파·침대에서 떨어지거나 끊는 물에 의한 화상을 많이 입는다. 또 4∼6세 유아기에는 놀이기구 등에서의 추락사고와 보행자 사고가 많이 일어난다.
◈화상을 입었을 때=음식을 만들 때 흔히 일어날 수 있다. 상처 부위의 통증이나 열기가 느껴지지 않을 때까지 10∼15분 동안 충분히 식힌다. 손이나 발은 물에 담그고 얼굴이나 머리는 타월을 씌운 뒤 분무기로 물을 뿌려 식힌다. 옷은 상처 부위가 식은 다음에 조심스럽게 벗기고 몸에 붙어 있으면 가위로 잘라낸다. 된장이나 간장 등은 절대로 발라서는 안된다.
◈이물질을 삼켰을 때=비누나 잉크·성냥 등 비교적 위험이 적은 물질은 삼킨 양이 적고 아무 이상이 없을 때 그대로 두면 대변으로 나온다. 그러나 위험한 이물질을 삼켰을 때는 응급조치를 한 다음 병원에 데려간다.
곰팡이 제거용 표백제나 화장실용 세제, 배수 파이프용 세제 등을 마셨을 때는 우유를 마시게 하고, 토하게 해서는 안된다. 향수나 나프탈렌을 마셨을 때는 물을 마시게 한 뒤 토하게 하고, 매니큐어나 석유 등 휘발성제품을 마셨을 때는 아무것도 먹이지 말고 토하게 해서도 안된다.
◈머리를 다쳤을 때=유아들은 넘어지거나 부딪히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등 머리를 다치는 경우가 많다.
만약 머리를 다친 유아가 곧 울음을 그치고 정상적으로 놀기 시작하면 심각한 문제는 아니다. 이런 경우에는 멍이 들거나 혹이 난 부위에 찬찜질을 해주고 작은 상처는 비누와 흐르는 물로 깨끗이 닦아낸 뒤 소독된 거즈를 덮어 10분 정도 눌러 지혈한 후 1회용 반창고를 붙여준다. 그러나 뇌손상의 증상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뒤에 나타날 수 있으므로 몇시간 동안은 유아를 유심히 지켜봐야 한다.
◈감전됐을 때=유아들은 끊어진 전깃줄을 손으로 만지거나 빨거나 전원에 핀을 꽂아 감전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때는 우선 감전 물체의 전원을 차단해야한다. 만약 전원을 찾지 못했을 때는 나무막대기나 플라스틱 물체 등 절연체를 이용해 감전된 유아를 감전 물체에서 분리시킨다.
유아가 의식을 잃지 않고 있는 경우 화상 입은 곳을 찾아내 응급처치하고 병원으로 데려간다. 의식이 없는 경우 호흡하는지를 먼저 확인하고 필요하면 인공호흡을 한 후 병원에 데려간다.
◈담배=유아에게 치사량은 2분의 1∼1개비. 우선 4분의 1개비 이하를 먹었을 경우 우유나 물을 한 컵 마시게 한 뒤 상태를 관찰토록 한다. 또 4분의 1개비 이상을 삼켰으면 우유나 물을 한 컵 마시게 한 뒤 토하게 하고 2분의 1 이상일 때는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
◈피가 날 때=깨끗한 가제를 상처에 댄 후 손가락으로 피가 멈출 때까지 세게 압박한 다음 가제 댄 부위에 붕대를 감아 지혈시킨다. 손과 발에 상처가 있을 때는 상처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린다.
◈골절상을 입었을 때=부러진 부위를 움직이게 하지말고 부목이 될만한 것을 타월 등 부드러운 천으로 싸서 고정시킨다. 골절인지 아닌지 확실히 모를 때도 상처부분을 함부로 주무르지 말고 부목을 댄 다음 병원에 가야한다. 잘못 만지면 혈관이나 신경에 상처가 생기기 쉽다. 또 이런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사고가 날만한 곳이 없는지 평소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스릴넘치는 카지노게임을 언제 어디서나
대박찬스 바로 당신이 주인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