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장비 열악 섬지역 기념물 피해가능성 여전
▲유관기관 협조체계 구축·일상적 관리강화 절실

섶섬 산불은 초동진화에서 마무리가지 사소한 대처방식의 차이가 얼마나 많은 피해를 줄이고 키울 수있는지 시사해주고 있다.

초동진호와 유관기관 협조미흡, 헬기 늑장지원 등이 화(禍)를 키운 것은 이미 지적한 문제. 불이 난지 이틀이 지난 15일까지도 불T를 완전히 제거못해 진압요원 투입과 철수를 반복한 점은 초동진화 못지않게 뒷마무리 중요성을 여실히 일깨워주고 있다.

당국이 산불이 진화됐다고 발표한 것은 무려 3차례. 발표 때마다 불씨가 남아있다는 주민제보도 잇따랐다. 그러나 당국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산세가 워낙 험해 진입이 곤란한데다 날이 어두워졌고, 육안으로는 불씨를 확인할 수 없다는 등의 이유로 매번 철수조치를 취해 3일동안이나 불안감을 안겨줬다.

현권수씨(65·보목동)는 "14일 저녁까지도 불T가 보였는데 진압요원을 철수시킨 이유를 모르겠다"고 의아해했다.

이 때문에 서귀포시가 15일 오후 3시께 최종 진화됐다고 밝혔으나 여전히 재발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은 가시지 않고 있다.

1200여평의 화재 현장에 헬기등 각종 장비와 300여명의 인력을 투입해놓고 불씨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것도 쉽게 이해되지 않는 대목이다.

이번 산불은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섬 지역이 화재에 얼마나 취약한가를 보여주기도 했다. 천연기념물이 분포돼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도내 섬은 섶섬과 북군의 사수도(흙비둘기)·토끼섬(문주란), 제주도지방기념물이 있는 서귀포시 문섬·범섬, 북군 비양도 등 6군데.

이들 섬은 출입이 자유로운데다 불이 날 경우 헬기외에는 마땅한 진압장비도 없어 '섶섬사태'가 언제 재연될지 모르는 상황에 처해있다. 섶섬 산불은 따라서 천연기념물에 대한 일상적인 관리체계 강화 측면에서 또다른 교훈을 던져주고 있다. <김성진·이창민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