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아한 멋을 한껏 부린 전통한복이 주종을 이루나 일상복으로 입을 수 있도록 기능성을 가미한 생활한복이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격식을 차려야하는 모임이나 가족모임에도 입을 수 있으니 쓰임새도 크게 넓어진 셈. 올 겨울 옷차림은 생활한복으로 꾸며보는 것이 어떨까?

 최근 생활한복 분야에서 두드러진 현상은 소재의 차별화. 종전 생활한복의 이미지가 ‘값싼 옷’이라는 데에서 생활한복 소재들이 고급화전략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생활한복이 인기를 얻는 이유는 주로 두 가지. 우선 한 벌에 20만∼45만원선인 전통한복에 비해 값이 8만∼30만원 선으로 부담이 적다. 또한 전통한복에 비해 손질과 보관이 쉽고, 물빨래가 가능한 제품이 대부분이라는 것. 게다가 평상시에도 입고 생활하기에 불편이 없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한복과 개량한복을 혼동하는데 엄밀히 구분된다. 개량한복은 전통한복을 현대적 스타일에 맞도록 개량해 디자인이 세련된 예복이라면, 생활한복은 조선시대 평민들의 평상복을 본떠 만들어 소재·디자인·색상 등 여러 면에서 서민적이다.

 생활한복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입을 수 있다. 주로 한 벌 정장을 입거나 기존의 옷에 생활한복 단품을 섞어 입는다. 생활한복을 고를 때는 정장 한 벌과 마찬가지로 같은 분위기의 조끼나 속저고리, 소품 등을 함께 구입하는 게 좋다. 동정이 달린 옷은 벌어지지 않도록 입어야 단아한 맛을 살릴 수 있다. 옷을 처음 고를 때부터 동정 윗부분보다 1㎝정도 길어야 입어서 맵시 있게 여며진다.

 남자옷으로는 면제품이, 여자용은 광택이 화사하면서도 물빨래를 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가 주종을 이룬다. 고급소재인 실크 제품도 가끔 눈에 띈다. 남성복은 깃이 위에서부터 길게 내려와 날씬해 보이면서 정장에 입는 긴 조끼, 여성복은 자수와 매듭을 이용한 장식의 화려한 디자인이 유행이다. 특히 여성들은 생활한복과 어울리는 가방, 목도리 등을 구입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가격대는 면제품은 15만원 미만, 이외 고급소재를 활용해도 30만원 미만이다. 고를 때는 먼저 바느질이 촘촘한지를 살핀다. 가장 중요한 것은 깃 부분의 둥근선과 직선의 바느질, 안감의 마무리 상태를 체크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실용성만을 강조한 생활한복이 단조로운 무늬와 색상 탓에 인기가 점차 수그러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생활한복 업체인 돌실나이 김경미씨는 “올 겨울은 화려한 색상보다는 살색 계통과 양장형 디자인을 가미한 생활한복이 두드러지는 추세이다”면서 “그동안 면과 구김이 덜 가는 폴리에스테르 제품이 많았으나, 웬만한 추위에 끄떡없는 누비 소재를 활용한 패딩형 제품도 눈에 띈다”고 말했다.<글=정용복·사진=김대생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