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2년 회의 한번도 없어, 해결의지 "실종"

4·3평화공원 조성계획 등을 결정할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위원장 이한동 국무총리·위원회)가 출범한지 2년째를 맞고 있으나 단 한번의 회의조차 열리지 않아 유족들로부터 4·3문제 해결 의지가 실종된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사고 있다.

위원회는 지난해 8월 출범 1주년을 맞아 제주도에서 간담회를 갖고 같은해 9월에 평화공원 조성에 따른 기본계획을 확정짓겠다고 밝히는등 매번 조속한 회의 개최 방침을 밝혔으나 여태껏 실행에 옮기지 않았다.

이 때문에 제주도가 지난해 6월 심의·의결을 요청한 평화공원 기본계획안은 6개월이 넘도록 낮잠을 자고 있고 공원조성에 필요한 예산 확보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도가 올해 확보한 사업비는 요청액 239억원 가운데 35억원이지만 공원 조성계획이 확정안돼 용처(用處)도 결정짓지 못하고 있다.

위원회는 최근에도 이달안에 공원조성 계획과 4·3희생자 선정기준 등을 확정하겠다고 밝혔으나 일정은 잡혀지 않아 공염불로 끝날 가능성이 짙어지고 있다.

유족들 사이에선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맞선 4·3희생자 선정 문제는 놔두더라도 평화공원은 논란의 소지가 없는 만큼 당장 해결 가능한 사안인데도 위원회가 뜸을 들이는 것은 4·3해결 의지가 없는게 아니냐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4·3처리지원단 관계자는 15일 “장관급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연다는게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라고 전제한뒤 “위원회에서도 평화공원 처리 지연 때문에 곤혹스러워 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