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오후 감협 무역사무소에서 열기로 했던 감귤류 수입관리 운영위원회의가 연기된 것과 관련해 뒷말이 무성하다.

 감귤가격 폭락 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있는 농민들을 위해 감귤류수입판매기금 집행여부를 심의·의결하기로 한 이날 회의가 몇몇 위원들의 불참을 이유로 열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제주도와 농·감협조합장 등은 지난 24·25일 막바지 감귤 유통처리대책회의를 열고 노지감귤의 출하량을 줄여 가격을 높이기위해 2월말부터 감귤상품을 긴급 수매하기로 합의했다.

 감귤류 수입판매기금과 도·시군이 공동확보한 예산으로 상품 1만-2만톤을 1관당 500원(kg당 133원)에 수매한다는 게 합의 내용.

 이에따라 감귤류 수입관리운영위원회는 28일 오후3시 감협무역사무소에서 수입판매기금 집행을 심의·의결하고 도지사의 예산승인을 받을 예정이었다.

 그래야만 당초 합의한대로 2월말부터 시작되는 감귤수매 일정을 맞출수 있다는 계산에서다.

 그러나 이날 회의는 일부 조합장들의 영농교육과 중앙회의 참석 등의 이유로 아예 열리지 못했고, 이로인해 감귤상품 수매는 다음달 연기가 불가피하게 됐다.

 이에대해 조합측은 “중앙회의 참석을 통해 영농자금 상환 연기 등을 건의할 예정이었다”며 “이또한 감귤수매 못지않게 중요한게 아니냐”고 뒤늦게 항변했다.

 물론 이 말도 일리는 있다. 하지만 더 이상의 감귤가격 폭락을 막기위해 시급히 합의된 사항을 약속대로 이행하면서 다른 일정을 챙길수는 없었는지 되씹어 볼 일이다.<이태경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