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제주목관아 일대서 비대면 생중계
사전행사 통해 시민참여 프로그램 대체
도민 새해 염원 담은 소원지 곳곳 내걸려
새해 새봄을 여는 '2021 신축년 탐라국입춘굿'이 2일·3일 양일간 제주시 제주목관아 일대에서 펼쳐졌다.
제주시 주최, ㈔제주민예총 주관으로 펼쳐진 탐라국입춘굿은 입춘(立春)을 맞아 한 해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제주 대표 전통문화축제로 올해 22회째를 맞았다. 당초 제22회 행사는 지난해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확산세로 전면 취소됐다.
'우리가 봄이 되는 날'을 주제로 한 이번 탐라국입춘굿의 모든 프로그램은 비대면으로 진행됐으며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생중계됐다.
입춘국수, 민속놀이 등 시민들과 함께하는 각종 체험 프로그램은 취소됐으나 드라이브스루 방식 입춘춘첩 제공, 입춘교실 운영 등의 사전행사를 통해 이를 대체했다.
제주목관아 곳곳에는 "새해에는 행복한 일상으로 돌아가길" "가족 모두 무탈하고 건강하게 해주세요" "코로나로 힘들었지만 올해는 꼭 잘 되게 해주세요" 등 사전행사를 통해 접수받은 도민들의 염원을 담은 소원지가 걸렸다.
본행사는 2일 한 해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춘경문굿'을 시작으로 풍년을 기원하는 '세경제', 항아리를 깨뜨려 액운을 내보내는 '사리살성', 낭쉐를 앞세운 '낭쉐코사' 등이 진행됐다.
입춘굿 순서 사이에 생기는 공백들은 김동현 문화평론가, 한진오 작가, 정신지 작가로 이뤄진 패널이 매끄럽게 연결했다.
3일에는 제주큰굿보존회의 집전으로 모든 신을 불러 모으는 '초감제'를 비롯해 제주두루나눔의 '입춘탈굿놀이' 등이 펼쳐졌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종식을 기원하며 나쁜 기원과 병을 떨치기를 기원하는 '허멩이답도리'와 '마누라배송굿'을 처음으로 선보이면서 코로나 상황 속에서의 의미를 더했다.
이종형 제주민예총 이사장은 "여러 프로그램이 축소·취소돼 아쉬움은 많지만 올해는 꼭 탐라국입춘굿을 개최해 도민들을 격려하고자 했다"면서 "이번 행사를 발전의 기회로 삼아 내년에는 더욱 풍성하고 따뜻한 자리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수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