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 찾지 못해 매년 수천마리 안락사
방지 위해 동물 등록제 적극 활용해야
도내 동물보호시설 1곳…수용력 부족
시설 확대 더불어 동물 인식 개선도
코로나19로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며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개, 고양이 등 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많아지고 있다. 과거에는 사람에게 귀여움을 받고 즐거움을 준다는 뜻에서 '애완(愛玩)동물'이라고 불렀으나 어느 순간부터 '반려동물'이라는 명칭이 더 익숙해졌다. 동물이 장난감이 아닌 일상과 감정을 나누는 존재라는 인식에서다.
지난해 제주지역에 등록된 반려동물은 3만8769마리로 2018년 2만1988마리, 2019년 3만3554마리에 이어 최근 3년 동안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도내 등록 가구 수(30만2033세대)로 보면 7.8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셈이다.
하지만 여전히 반려동물을 유기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도내 유기동물의 현황과 복지 현 주소를 들여다본다.
△버려지는 동물들
제주지역 유기동물은 지난해를 기점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제주동물보호센터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센터에 입소한 유기동물(개, 고양이 포함)은 2017년 5585마리, 2018년 7651마리, 2019년 7767마리, 2020년 6642마리로 집계됐다. 올들어 5월까지 입소한 유기동물도 2144마리다.
그렇지만 주인을 찾아가는 경우는 드물다. 등록칩 등 동물등록이 돼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포함한 반환률은 5% 수준이다.
매년 수천마리의 유기동물이 주인을 찾지 못하거나 입양되지 못해 안락사를 당하고 있다.
△구조에서 보호, 입양까지
제주시 첨단동길 184-14에 위치한 제주특별자치도 동물보호센터에서는 유기·유실당한 개나 고양이 등을 보호하고 있다.
주요 업무는 보호동물의 보호관리, 동물반환, 입양, 자원봉사 등이다.
제주동물보호센터에 입소한 유기동물은 공고기간(약 10일) 동안 소유주에 반환되지 않으면 입양 절차를 거치게 된다.
센터는 센터 SNS와 동물보호관리시스템(www.animal.go.kr) 등을 통해 입양 정보를 안내하고 있다.
입양 문의는 센터에 전화(064-710-4065)를 통해 하면 된다. 방문은 사전 예약을 통해 정해진 요일과 시간에만 가능하다.
센터를 통해 입양 시 입양 지원 키트와 15만원 상당의 건강돌봄쿠폰을 받을 수 있다.
△반려동물 등록제 "적극 활용"
도내 유기동물은 동물등록이 돼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난 2014년부터는 '반려동물 등록제'가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유기되는 사례를 막을 수 있다.
반려동물 등록제는 2개월령 이상 반려견을 대상으로 하며, 소유주는 가까운 동물병원 등에서 등록할 수 있다.
지난 2018년 도내 반려견 수는 9만5304마리로 잠정 집계됐으며, 이를 기준으로 지난해 말 기준 등록된 반려견은 모두 3만9625마리, 등록률은 41.5%다.
아직 등록률이 절반도 되지 않을 뿐더러 의무등록 대상 동물에 반려묘(고양이)는 해당하지 않아 적극적인 등록 동참 노력이 필요하다.
1차적인 동물 등록을 통해 유기·유실된 동물의 소유주를 손쉽게 찾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오는 2022년 말까지 동물 등록 수수료와 등록칩 비용 지원 등 무료로 등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 상대적으로 유기견 발생이 잦은 읍·면 지역을 방문해 동물등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반려견 중성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나아가야 할 길
현재 제주에 위치한 동물보호시설은 제주동물보호센터 단 한 곳 뿐이다.
센터가 하루에 수용할 수 있는 규모는 최대 400마리까지로, 매년 수천마리의 유기동물이 입소하지만 입양률이 15%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이마저도 최대 수용 규모로, 적정 수용 규모는 개 250~300마리, 고양이 40마리에 불과하다.
적정 수용 규모를 초과해 보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밀집도가 높아지면 전염병 발생이나 스트레스를 받을 위험이 있어 시설 확충 등이 필요한 상황이다.
도는 유기동물 복지를 위해 동물보호시설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또 반려동물 복지를 위해서도 도내에는 없는 동물장묘시설 건립에도 나선다.
어제의 반려동물이 오늘의 유기동물이 될 수 있다. 단순히 시설 확대만이 아니라 도민들의 동물에 대한 인식 개선도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일 것이다. 신승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