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29일 문화정책 공청회
도, 민선8기 주요 과제 발표
도내 문화예술인 의견 청취
"사업 연속성 확보" 등도 제언
제주 문화예술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선 문화예술 분야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통계를 구축하고, 지난 제주도정 정책에 대한 점검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주도는 지난 29일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위원장 이승아) 주최로 열린 '문화정책 공청회'에서 민선8기 도정의 문화예술 분야 5대 정책 과제를 공유했다. 이날 공청회는 도민과 문화예술인을 비롯해 도 관계 공무원, 도의원 등이 참석했다.
공청회는 민선 8기 문화예술 공약을 소개하고 추진 상황을 공유, 이에 대한 도민과 예술인 의견을 수렴해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오상운 연극인(예술공간오이 대표)은 "새로운 도지사가 오더라도 행정은 큰 줄기가 있어야 한다"며 "제주 예술인 현황 파악조차 되지 않았는데, 어떻게 예술인을 지원할지 궁금하다. 현재 제주는 문화예술과 관련된 통계는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김신익 대학생(재즈밴드 시크릿코드 단원)도 "예술인 현황 등을 관리하고 지원책을 점검하는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영림 제주국제문화교류협회장은 "제주도가 내세운 '문화예술의 섬'이라는 구호가 단어에만 그치는게 아닌지 진단해야 한다"며 "전 도정에서도 문화예술 공약·정책은 무수히 많았다. 이에 대한 실행률을 살피고 민선8기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데만 그치는 것이 아닌 사업의 연속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김두혁씨(비팩토리 대표)는 "마을 사업에 참여한 적이 있는데 정책이 시행할 때만 유지되는 콘텐츠가 많다"며 "사업의 연속성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란희씨(제주대 문화경영학과 대학원)는 "정책이 용역으로만 끝나는 일회성이 되지 않길 바란다"며 "행정이 직접 찾고 발굴하는 적극성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미영 도 문화정책과장은 "도민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반영,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는 이날 제시된 의견을 수합해 제주도에 전달할 예정이다.
한편 도는 도지사직 인수위원회에서 제시한 과제를 토대로 정책을 구체화하고 있다. 확정된 정책 계획은 오는 10월께 공개할 예정이다.
민선8기 문화예술 과제는 △제주형 예술인 복지 지원 시스템 구축 △제주 마을별 문화예술 브랜드 발굴 △신남방 K-컬처 산업화 추진 △제주 역사문화 기반 구축 △읍·면 지역 생활복합문화 공간 조성 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