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공원 어떻게 바뀌나
기반 구축 용역 최종보고회
310억원에서 448억원까지
공원 동선 따라 '천차만별'
제주역사관 위치 등도 쟁점
민선8기 오영훈 도정의 공약사업 중 하나인 '제주역사문화지구 및 제주역사관 건립' 청사진이 제시됐다.
제주도는 27일 자연마루실에서 '제주 역사문화기반 구축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제주연구원이 수행한 이번 용역은 제주역사문화지구와 제주역사관의 기본 구상을 제시한 것이다.
용역진은 신산공원 인근 역사문화자원과 연계성을 고려한 역사문화지구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생태수목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한편 제주 초가와 방사탑을 활용한 건축물을 제주 특유의 전통을 부각시킨다는 방침이다.
용역진은 제주역사문화지구와 제주역사관 구축에 각각 3가지 안을 제시했다.
먼저 제주역사문화지구의 경우 '1안 제주 시민의 숲' '2안 탐라역사문화공원' '3안 제주 자연 삶 공원' 등으로 주제를 나눴다.
1안은 신산공원의 일부 동선을 변형하면서 생태를 최대한 유지한 것이 특징이다. 2안은 역사·문화에 중점을 두고 각종 조형물을 설치하는 것이다. 3안은 현재 신산공원의 원형 그대로 유지하며 곳곳에 역사와 문화를 넣는다는 계획이다.
제주역사관 역시 설치 위치에 따른 3가지 안이 제시됐다. 1안은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광장에 건물을 신축하는 것이다. 2안은 박물관 일부 공간을 증축하는 계획이다. 3안은 현재 주차장을 활용한다.
이번 계획의 쟁점은 예산이다. 용역진은 사업 추진 시 예상되는 문제점으로 예산 확보 문제와 이에 따른 사업 추진 기간 연장을 지목했다.
용역진 추산에 따르면 제주역사문화지구의 경우 각 안과 지하 주차장 유무에 따라 최소 310억5000억원에서 최대 448억원까지 격차가 벌어진다. 실제 공사에 돌입할 경우 토지매입비용과 굴착비용 등을 포함하면 사업비용이 확대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렇게 되면 타당성 검토 절차가 수반되면서 사업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제주역사관의 경우에도 설치 장소에 따라 최소 120억원에서 최대 200억원까지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밖에도 문화체육관광부의 공립박물관 설립 타당성 검토가 엄격하게 이뤄지고 있고, 문화재보호법에 따른 심의가 수반돼야 한다는 점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