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우 제주도 식품산업과 식품산업팀장

제주도는 '대전환의 시대, 민생안정으로'를 주제로 열린 2024년 간부 워크숍에서 한 해의 주요 성과를 돌아보고 2025년 중점 추진정책들을 발표했다.

골목상권 디지털전환 정책은 디지털 기술도입, 소상공인 역량강화, 빅데이터 및 AI분석을 통한 맞춤형 마케팅 등 골목상권의 미래 지향적 모델로 재구성해 급변한 시장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제주 푸드테크 산업생태계 조성 전략은 제주 특화자원과 첨단기술을 결합한 맞춤형 식품개발로 생산성과 유통효율을 높이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지속 가능한 미래먹거리 산업생태계를 조성하는 전략이다. 런케이션 정책은 제주를 글로벌 워케이션의 중심지로 육성하고 일과 휴가의 경계를 허물어 새로운 관광 및 근무 모델을 제시했다. 

제주 탄소중립 선도도시 조성은 첨단기술과 에너지 솔루션을 활용해 탄소배출을 줄여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전략이다. 

이런 정책들은 단기적 지원을 넘어 산업 생태계적 관점에서 지역 문제에 접근하고, 미래에 발생할 문제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방향으로 정책들이 마련됐다.

2025년 주요 정책들은 지역 문제해결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첨단기술과 융합을 강조하고 부서 간 칸막이를 허물고 협력해야 성공할 수 있는 과제들이다. 

100%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프리미엄 계란이 출시됐고, 바이오 소재와 식품제조가 융합돼 기능성표시 제주 보리김치가 일본 수출을 앞두고 있다. 2025년 제주는 이종산업간, 부서정책간 첨단기술과의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산업생태계가 곳곳에서 창출되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