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바닷가서 발견..야생동물구조센터 밀착관리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의 치료를 받은 멸종위기종 물수리가 지난 1일 성산일출봉 주변 광치기해변에서 자연의 품으로 돌아갔다. 센터 제공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의 치료를 받은 멸종위기종 물수리가 지난 1일 성산일출봉 주변 광치기해변에서 자연의 품으로 돌아갔다. 센터 제공

제주 해안가에서 다친 채 발견됐던 멸종위기종 물수리가 치료를 받고 회복해 다시 하늘을 날았다.

제주대학교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는 새해 첫날인 지난 1일 치료를 마친 멸종위기종 2급 물수리를 성산일출봉 주변 광치기해변에서 자연의 품으로 돌려보냈다고 2일 밝혔다.

센터에 따르면 이 물수리는 지난해 10월 18일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바닷가에서 한국조류보호협회 회원들에 의해 발견됐다. 당시 물수리는 미상의 물체와 충돌해 다친 것으로 추정됐다.

엑스레이 검사 결과 오른쪽 오훼골(척추동물 흉부를 형성하는 뼈) 탈구가 확인됐으며, 왼쪽 첫 번째 발톱 부상도 심각한 상태였다.

센터는 즉시 응급 치료를 실시해 탈구 부위를 환납하고 70여일 동안 맞춤형 진료와 밀착관리를 진행했고, 구조센터 내 맹금류 재활훈련시설에서 비행 훈련을 거쳐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게 도왔다.

물수리는 수리목 물수리과에 속하는 야생동물로, 몸 길이 58㎝, 몸무게 1.5㎏ 내외 중형급 맹금류이다. 가슴에 얼룩점이 있고 부리가 갈고리 모양으로 길며 발가락이 크고 날카로운 것이 특징이다. 국내에서 보기 드문 겨울 철새이자 나그네 새로 불린다.

한편 센터는 지난해 야생동물 1356개체를 구조했다. 이 가운데 천연기념물·멸종위기종은 60여 개체가 포함됐다. 김은수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