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자문위 권고 순조…문화재청 접수 2년 만 성과
총 1만4673건 등 자료 방대…'화해와 상생' 가치 등 담겨
과거사 해결 모범사례 평가…2~17일 이사회서 결정 예정

제주4·3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도민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가 최근 열린 회의에서 제주4·3 기록물에 대해 등재 권고하면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문화재청은 2023년 11월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이 접수한 제주4·3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 본부에 제출했다.

이후 지난해 12월 세계기록유산 등재심사소위원회(RSC)와 지난 2월 국제자문위원회(IAC) 심사를 거쳐 최종 등재 결정을 앞둔 셈이다.

제주4·3 기록물에 대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필요성은 2012년 도내 학계와 시민사회 등으로부터 꾸준히 제기됐다.

당시 제주4·3평화재단은 2018년부터 관련 준비에 착수했으며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을 중심으로 제주4·3 기록물 미국 현지 조사를 진행해 모두 3만8500여매에 달하는 기록물을 입수했다.

아울러 2020년 민간 기록물 수집 캠페인을 전개해 400여건의 기록물을 수집한데 이어 진상 규명 운동 참여 인사도 3년에 걸쳐 19명을 채록하고 4만9635건의 제주4·3 기록물에 대한 아카이브 고도화 작업도 수행했다.

이 중 유네스코 본부에 제출된 제주4·3 기록물은 총 1만4673건에 이른다. 신청서상 명칭은 '진실을 밝히다: 제주4·3 아카이브'로 '화해와 상생'의 가치를 담아 과거사 해결의 모범사례로 전국화·세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문서 1만3976건, 도서 19건, 엽서 25건, 소책자 20건, 비문 1건, 비디오 538건, 오디오 94건 등이다.

주요 목록으로는 군법회의 수형인 기록, 수형인 등 유족 증언, 도의회 4·3 피해신고서, 4·3위원회 채록 영상, 소설 '순이삼촌', 진상 규명·화해 기록, 정부 진상조사 관련 기록물 등이다.

이는 제주4·3 당시부터 정부의 공식 진상조사보고서가 발간된 2003년까지의 생산 기록물로 20세기 비극에 대한 21세기 최선의 해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현재까지 제주4·3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며 "등재가 성공할 경우 제주4·3 역사적 의미와 평화·인권 가치가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4·3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최종 등재 여부는 오는 2일부터 17일까지 열리는 유네스코 집행 이사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양경익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