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봉직 제주도의회 의원
제주대학교 미래융합대학은 2017년 교육부 평생교육 단과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돼, 성인학습자를 위한 학사학위 과정을 제공하고자 설립됐다. 2019년 LiFE(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로 전환됐고 2025년부터 RISE 체계로 편입을 준비중이다. 그러나 RISE 사업 신청 과정에서 미래융합대학이 사업계획에서 제외됐다.
학과의 존폐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학생·교직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는 전혀 없었다. RISE 사업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 '혼디 평생교육 배움터' 등 사업을 비롯한 관련 계획을 제안했음에도 제주대는 평생학습 학사과정은 제외한 채 특수대학원 중심의 평생교육 석사과정만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전에 충분한 논의가 없었고 학과를 폐지하는 이유를 설명하지 않은 채 대학 본부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한 것이다. 지역 거점 국립대로서 책임을 외면한 처사다.
더욱이 현재 375명의 재학생이 학위 과정을 이수하고 있음에도 시간강사 및 온라인 강좌를 통해 학업을 이어가게 하겠다고 안내했다. 이런 조치가 과연 학생들의 정당한 학습권을 보장하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일련의 결정은 공공성과 지역사회 기여라는 국립대학의 본래가치에도 어긋나는 것이다.
성인학습자의 학습권은 단순한 교육의 기회를 넘어, 생애 전반의 역량강화와 지역사회 기여로 이어지는 중요한 가치다. 제주대학교는 국립대학으로서 책무를 되새기며 성인학습자를 위한 학사과정의 지속가능성과 운영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논의를 재개해야 한다.
아울러 RISE 사업을 총괄관리하는 제주도 또한 이 문제의 책임을 제주대에만 전가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RISE 사업 선정 이후 4월말까지 컨설팅을 통해 사업계획을 수정·보완할 수 있도록 절차가 마련돼 있다.
지자체가 대학에 특정사업을 강제할 수는 없지만 RISE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간담회, 워크숍, 워킹그룹 운영 등을 통해 수렴된 의견이 실제 신청서에 반영됐는지에 대한 검토는 평가주체의 몫이다. RISE는 지역수요에 맞는 인재양성 사업, 미래신산업 인재를 육성하는 사업에 국한되지 않고 창업, 평생교육, 지역사회 혁신 등의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는 종합계획인 만큼 어느 한 분야도 소외됨이 없도록 지역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한 사업설계와 실행이 절실히 요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