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권 전 남제주군수
2005년 7월 27일 전국최초로 실시된 제주도 행정구조 개편 주민투표는 서귀포시와 남제주군의 대다수 주민들의 반발을 불러왔었다.
당시 민주주의 후퇴, 참정권 훼손, 자치입법권과 인사권 소멸, 도지사 권한 집중으로 주민 밀착행정이 멀어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산남지역 곳곳에서 분출되기도 했다.
주민투표법의 힘은 강해서 단일광역자치안을 선택한 제주시와 북제주군에 비해 지역세가 약했던 산남지역 주민들은 자기결정권을 부정 당하는 현실을 지켜봐야 했다.
최근 제주형 기초자치단체인 동제주시·서제주시·서귀포시를 부활시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의깊게 바라보고 있다.
주민밀착행정, 단합심과 경쟁의식, 중앙예산 확보 경쟁력 제고 등 직접 선출한 시장이 책임행정을 구현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고 주민편익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라 할 것이다.
만시지탄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기초자치단체 부활로 주민복리 증진과 지역발전을 가져오는 개편방향이라면 이제라도 적극적으로 고쳐가는 게 타당한 선택일 것이다. 여기에 도민들의 변화를 향한 열망과 확고한 의지만 보태준다면 이전 4개 시·군보다 더 나은 쪽으로 나아가는 길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라도 잘못 꿰어진 단추임을 깨닫고 잘못된 길임을 가고 있음을 알아챌 때 빨리 돌아서야지 고집스럽게 더 나아가는 어리석음은 택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계속 이어진 행정체제 개편 관련 소모적 논쟁에서 하루빨리 벗어나 주민투표를 통해 도민의 뜻을 재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새로운 미래를 준비해야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