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연구원, 균형발전지표 분석
“지역 맞춤형 정책 수립 시급”
제주의 지역발전 수준과 삶의 질을 종합 진단한 결과, 전국 17개 시도 중 13위로 평가되면서 일부 분야에 대한 정책적 보완 필요성이 제기됐다.
제주연구원은 ‘균형발전지표를 활용한 제주의 지역여건 진단과 시사점’ 연구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이 연구는 지방시대위원회의 균형발전지표 원자료(2023년 기준)를 활용해 제주의 전반적인 지역여건을 진단하고, 부문별 강·약점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됐다.
균형발전지표는 지방시대위원회가 지역발전 수준과 삶의 질을 함게 고려한 정책 수립을 목적으로 각 지역의 여건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자 개발했다.
분석 결과, 제주도는 문화·여가, 안전, 인구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양호했으나, 교육, 생산·분배, 생활환경 분야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시와 서귀포시 간 여건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제주시가 전국 228개 시군구 중 76위, 서귀포시는 132위를 기록했다.
제주시는 문화·여가와 생산·분배 부문이 비교적 양호했지만, 보건·복지, 재정, 물가 분야에 개선 여지가 있었고 서귀포시는 산업·일자리와 인구, 주거 부문에서 양호한 평가를 받았으나 교육과 문화·여가 부문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연구를 수행한 이민주 부연구위원은 ▲지역 교육 인프라 개선 ▲생산·분배 구조 정비 및 내수 활성화 ▲지속가능한 환경복지 향상 등을 대응 방향으로 제시했다.
이어 전국 단위 상대 비교의 한계를 지적하며, 읍면동 단위까지 반영 가능한 '제주형 지역여건 지표'의 개발과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정량적 지표에 기반한 진단은 지역의 강점과 보완이 필요한 영역을 보여준다”며 “제주의 특성과 생활권 격차를 반영한 맞춤형 정책 수립과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제주연구원 홈페이지(www.jri.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기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