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지역성평등지수서 ‘상위 지역’ 포함
우리나라 성평등 수준을 나타내는 성평등지수가 집계를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하락했다.
여성가족부가 17일 발표한 ‘2023년 국가성평등지수’ 결과를 보면 2023년 우리나라 성평등지수는 65.4점으로 전년 66.2점보다 0.8점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성평등지수가 전년보다 하락한 것은 2010년 지수측정을 시작한 이래 처음이다.
성평등지수는 고용과 소득, 교육, 건강, 돌봄, 의사결정, 양성평등의식 등 7개 영역·23개 지표를 기반으로 남녀 격차를 측정해 수치화한 값으로 완전한 평등 상태는 100점, 불평등은 0점으로 나타낸다.
영역별 지수를 보면 교육 부문이 95.6점으로 가장 높았고 건강 94.2점, 소득 79.4점, 고용 74.4점, 양성평등의식 73.2점, 돌봄 32.9좀, 의사결정 32.5점 순이다.
이 중 가장 크게 나빠진 부문은 양성평등의식으로 전년 대비 6.8점이 줄었는데 특히 양성평등의식 세부지표인 ‘가족 내 성별 역할 고정관념’이 60.1점에서 43.7점으로 무려 16.4점이나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이동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인지통계센터장은 “코로나19 이후 돌봄 기관의 운영 중단과 원격 수업 등의 영향으로 가족 내 가사·육아 부담이 커졌고 육아휴직이나 근로 시간 단축 등의 지원제도를 주로 여성들이 활용하면서 지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국 17개 지역의 성평등 수준을 4등급으로 구분한 지역성평등지수의 경우 제주를 비롯해 서울과 대전, 세종, 충남이 ‘상위지역(74.05~71.57점)’으로 분류됐다.
이어 ‘중상위 지역(70.84~69.83)’ 에는 대구와 광주, 강원, 전북이, ‘중하위 지역(69.76~69.07점)에는 인천, 경기, 충북, 경남이 선정됐으며 ’하위 지역(68.72~67.74점)‘에는 부산과 울산, 전남, 경북이 꼽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