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제주지역본부
28일 도민카페 기자회견
세계 산재 노동자의 날을 맞아 제주지역 노동자들이 산재 사망자를 기리고 노동자의 건강권 보장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제주지역본부는 28일 오전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작업 중지권 쟁취와 안전한 일터를 요구했다.
이들은 "오늘 산재 노동자의 날이 국가기념일로 제정된 해"라며 "그러나 매년 2400명의 노동자가 일터에서 죽고 부상과 질병으로 15만명의 고통받는 산재 사망 1위 산재 공화국이다"고 했다.
그러면서 "남발되는 산재 불승인, 200일, 300일이 넘는 산재처리 기간, 턱없이 낮은 간병 급여, 치료도 재활도 사업장 복귀도 산재 노동자에게는 절망과 고통의 연속일 뿐이다"며 "더욱이 윤석열 정부는 중대재해처벌법을 무력화 하고, 산재 노동자를 모욕하며 생명 안전에 대한 후퇴와 개악을 추진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1988년 15살 문송면 노동자의 수은중독 사망부터 2024년 23명의 노동자가 죽어 나간 아리셀 참사까지, 원진레이온 투쟁부터, 삼성반도체 직업병, 학교급식조리사 폐암까지 지난한 투쟁의 연속이었다"며 "이 투쟁은 생명안전 후퇴 개악에 맞서 윤석열 퇴진 투쟁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위험작업 중지권·노동자 참여 보장 △중대재해처벌법 엄정 집행 △인력 기준 법제화 등을 촉구했다.
한편 세계 산재 노동자의 날은 1993년 태국 한 인형공장에서 188명이 사망한 사건에서 시작됐다.
당시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는데 노동자들이 인형을 훔쳐 갈 것을 우려해 공장주가 문을 폐쇄했고 사망자가 크게 늘었다.
이후 산재 노동자에 대한 추모가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국제노동기구(ILO)와 유엔, 영국, 스페인, 호주, 미국, 태국 등 여러 국가가 기념일로 지정했다.
올해는 우리나라에서 세계 산재 노동자의 날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뒤 첫 번째 해다.
지난해 9월 국회 본회의에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개정해 4월 28일을 산업재해근로자의 날로 지정했다.
전예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