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 단체 긴급행동 나서
회의장 막아 협의회 무산
피해지역 주민 배제 규탄
도 합의 실패…일정 변경

지난 16일 성산읍국민체육센터 운동장에 마련된 제2공항 환경영향평가협의회 회의장 앞에서 고선애 환경정책과장(사진 왼쪽)과 반대단체 대표들이 대치하고 있다. 윤승빈 기자
지난 16일 성산읍국민체육센터 운동장에 마련된 제2공항 환경영향평가협의회 회의장 앞에서 고선애 환경정책과장(사진 왼쪽)과 반대단체 대표들이 대치하고 있다. 윤승빈 기자

제주 제2공항 건설을 위한 환경영향평가 절차가 본격 시작됐지만, 첫 협의회가 제2공항 반대단체의 긴급 행동에 의해 파행됐다.

지난 16일 오후 3시 제주 제2공항 환경영향평가협의회 현장 심의가 예정된 성산읍국민체육센터 운동장에는 회의를 위한 천막이 설치돼 있었다.

하지만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와 제주제2공항성산읍반대대책위원회가 회의장 입구를 막아서면서 진입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이들 단체는 환경영향평가 절차가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문제삼고 있다.

그러면서 이날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제주도가 결국 국토부 장단에 맞춰 피해지역 주민대표를 배제한 환경영향평가협의회를 강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제2공항이 새정부에서 재검토할 수 있도록 모든 절차의 중단을 요구한 바 있다"며 "제주도는 우리의 의사를 완전히 무사히고 있다. '윤석열 국토부'와 야합해 피해지역 주민을 배제하고 일방적이고 졸속으로 강행하는 오영훈 도정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2공항 강행을 방조한다면 오영훈 도지사에게 분명한 정치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제주도는 이들 단체를 설득하고 나섰지만,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결국 일정을 변경하기로 했다.

한편 제주도는 국토교통부 제주지방항공청으로부터 제주 제2공항 환경영향평가 준비서를 제출받고 이를 심의하기 위한 환경영향평가 협의회를 구성했다. 

협의회는 환경영향평가에 앞서 평가대상지역, 환경보전목표, 대안설정, 평가항목, 항목별 조사방법 등을 결정한다. 

협의회 결과가 항공청에 통보되면 본격적인 환경영향평가 절차가 시작된다. 위원은 환경영향평가심의위원 7명, 찬성 주민대표 1명, 반대 주민대표 1명, 공무원 3명, 기후환경영향평가협의회 관계자 2명 등 14명으로 구성됐다.

하지만 반대단체 주민대표가 협의회를 보이콧하는 등 원활한 회의 진행이 어려운 상황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