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조사 15시간 걸려…실제 조사 5시간
수사관 교체 요구 3시간 넘게 조사 거부

피의자 신분으로 내란 특검 조사를 받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피의자 신분으로 내란 특검 조사를 받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내란 특별검사팀이 29일 윤석열 전 대통령을 소환 15시간에 걸친 첫 대면조사를 진행했다.

하지만 일부 혐의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특검팀은 30일 윤 전 대통령을 다시 소환했다.

박지영 내란특검 특검보는 29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측의 조사자 교체 등 요구로 추가 조사가 이뤄지지 못해 30일 오전 9시 다시 출석을 통지했다”고 밝혔다.

박 특검보는 이어 “수사가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고 윤 전 대통령을 추가로 소환할 예정”이라며 “비상계엄 국무회의와 관련해 국무위원들도 추후 소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특수공무집행방해 및 직권남용, 대통령경호법상 직권남용 교사 혐의를 받고 있는 윤 전 대통령은 지난 28일 오전 10시14분께 서울고검 청사에 출석해 조사를 받았으며 다음날인 29일 오전 0시59분께 조사를 마치고 귀가했다.

윤 전 대통령은 특검에서 15시간 가량 머물렀지만 실제 조사는 5시간 밖에 이뤄지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측이 조사 담당자인 박창환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 교체를 요구하면서 3시간 넘게 조사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이에 특검은 윤 전 대통령측과 의견을 조율후 조사를 재개했지만 시간 부족으로 인해 계엄에 동원된 군사령관들의 비화폰 삭제 의혹 등에 대해서는 조사를 진행하지 못했고 결국 윤 전 대통령에게 재출석을 통보했다.

이와 관련해 윤 전 대통령 법률대리인인 송진호 변호사는 “특검이면 검사가 조사하는 것이 맞는데 경찰이 주로 신문하는 과정이 이어졌다”며 “특검에 조사자를 바꿔달라고 했는데 이를 거부했고 의견 조율 때문에 조사중단 시간이 길어졌다”고 설명했다.

다음 조사에 응할 것인지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당연히 적법한 소환에는 출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