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솔 대여 수익 마을 환원
일부 백사장 공유수면 미허가
형평성 문제로 내부 갈등 지속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면서 도내 해수욕장에 피서객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일부 해안 지역에서 주민 간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 마을 수익으로 환원되는 파라솔 대여사업을 두고 마찰이 이어지면서다.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호동주민자치위원회는 올해 지자체로부터 이호테우해수욕장 내 파라솔 설치를 위한 공유수면 허가를 받아 일부 구역에서 대여 영업 행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호해수욕장 인근 현사마을 앞 백사장은 허가되지 않았다.
파라솔 설치를 통한 대여사업은 마을 수익사업으로, 주민자치위원회 등 마을 자생단체에서 '공유수면 점·사용 허가 신청'을 하면 행정이 지정하는 일정 구역에서 영업 행위를 할 수 있다.
이호해수욕장 역시 운영 수탁자인 동주민자치위원회가 논의를 거쳐 파라솔을 설치할 공유수면 구역 등을 결정하고 있다. 이호동 주민자치위원회는 동 지역내 5개 마을회장이 당연직으로 포함됐다.
하지만 최근 몇년간 현사마을 앞 백사장에 파라솔을 대여할 수 있는 허가를 내주지 않자, 마을 측에서는 반발하고 있다. 파라솔이 한쪽 구역에 편중된 데다, 계절 음식점까지 운영되다 보니 유동인구가 줄어들면서 상권 침체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현사마을 관계자는 "이호해수욕장 공유수면 점용 허가를 내준 이래 일부 백사장만 파라솔 설치를 한 적이 없다"며 "파라솔을 균등하게 설치해 해수욕장 전체가 활성화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주민자치위원회는 앞서 계절음식점 바가지 요금 등 문제로 상권 이미지에 타격을 입어 파라솔 영업을 접었던 마을이 재설치를 요청하는 것으로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난색을 보이고 있다.
주민자치위원회 관계자는 "2023년 상생을 위해 공유수면 점용 허가를 주겠다고 했지만 당시 마을이 거절했는데 이제와서 달라고 하면 곤란한 부분"이라며 "마을 내 문제기 때문에 향후 대화하면서 협의점을 찾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내부 갈등이 지속되면서 마을 수익사업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마을 간 협의만 이뤄지면 파라솔 설치에 대한 허가에는 문제가 없다"며 "주민 간 갈등에 행정이 깊숙이 개입하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김은수 기자



현사마을 입장만 듣고
기사를 쓴다는 것은 오판이라 보여짐.
기사는 서로 각 의견을 듣고 정확한 내용을 써야 한다고 보여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