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대상 실무교육 운영
글로벌 확산 위한 TF 구성
제주도가 글로벌 클라우드 선도기업 아마존웹서비스(AWS)코리아와 함께 인공지능(AI)·디지털 대전환 정책의 실질적 산업 적용을 위한 전략적 협력 논의를 본격화했다.
제주도는 22일 서울 강남구 AWS코리아 본사에서 관련 부서 담당자들과 함께 우주항공, 스마트도시, 물류, 인재육성 등 4개 핵심 분야에 대한 협력 방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산학연관 전담조직(TF) 구성에도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논의는 제주도가 인공지능·디지털 대전환을 도정 핵심과제로 선언한 이후 정책과 산업을 연결하는 실행 전략 마련을 위해 추진됐다.
양측은 AWS의 글로벌 클라우드 및 AI 기술을 활용해 제주의 디지털 혁신을 현실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우주항공 분야에서는 제주의 지리적 특성을 활용해 위성데이터 기반 공동 플랫폼 구축, 전문인력 양성, 해커톤 운영 등을 포함한 협력 모델이 검토됐다.
특히 AWS 오픈 데이터 저장소에 등록된 유럽우주청(ESA)의 센티넬2 위성이미지를 활용한 실습 프로그램도 거론됐다.
스마트도시 분야에선 분산에너지 특구와 연계한 가상발전소(VPP) 플랫폼 구축, 에너지 최적화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 등이 제시됐으며, 물류 분야에선 싱가포르 모델을 벤치마킹한 관광·농산물 기반 글로벌 허브 구축 구상이 논의됐다.
인재육성 부문에서는 이스트소프트 제주캠퍼스에 AWS 교육센터를 설치하고, 9월부터 ‘오르미 캠프’라는 이름의 AI 전문 교육과정을 운영하기로 했다. 교육은 산업 현장 중심의 실무 커리큘럼으로 구성되며, 우수 수료자에게는 제주지역 기업 인턴십 기회도 제공된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분산에너지 관련 사업이 가장 빠르게 부가가치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VPP와 V2G를 통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핵심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제주는 2035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여야 하며, 좋은 전기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곳이 되면 데이터·AI 기업들이 제주로 오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기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