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도정질문 마지막날
정민구 의원 '구조적 한계' 지적
지사, 사업 기간·소통 부족 자평
버스 우회전 등 설계 변경 착수
실제 운전자 중심 공감대 형성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최근 추진 보류된 제주형 간선급행버스체계(BRT)에 대해 "놓친 부분이 있다"고 인정했다. BRT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사업 소요 기간과 투자 비용, 도로 구조, 도민 소통 등에 대해 부족함이 있었다는 것이다.
오영훈 도지사는 14일 열린 제주도의회 제444회 정례회 도정질문 3일차 일정에서 더불어민주당 정민구 의원(삼도1·2동)이 "도민 공감대 뒷전이었다"고 평가하자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정민구 의원은 "섬식정류장 정책으로 대중교통 중심도시 제주를 내세우면서 전국 최초 타이틀을 얻었을지는 모르겠지만 시범사업 단계에서 문제가 드러났다"며 "왜 이렇게 서둘러 추진했는가"라고 따져 물었다.
이에 오영훈 도지사는 이미 중앙로와 함께 서광로 역시 사업 계획이 전임 도정부터 이어지고 있었음을 전제하면서도 "서광로 BRT에 대해서는 놓친 부분이 있었다"고 시인했다.
오 지사는 "서광로는 시외버스터미널이 있는 곳이고 시외버스가 가장 많이 다니는 지역"이라며 "중앙로에서는 버스가 1차로만 다녀도 되지만 서광로는 1차로와 3차로를 오가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서광로 1차로와 3차로를 버스가 차지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외버스를 양문형 버스로 교체해야 한다"며 "하지만 시간과 투자비용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고 털어놨다.
또 "2026년 말이면 해결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지만 1년 이상을 도민들이 감내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았다"며 "이에 양문형 버스를 확보하는데 걸리는 시간 등을 감안, 사업을 잠시 보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또 현재 1차로에서 우회전이 안된다. 빠른 시일 내 설계를 변경하는 작업을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정민구 의원은 "도민 의견수렴과 현장 검증이 충분하지 않았다. 교통정책 수립 시 성과 중심 행정이 아닌 도민 공감 중심 행정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이 사업을 실패로 남길지, 도민과 함께 다시 설계하는 교통혁신의 출발점으로 만들지는 정책 결정권자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오영훈 지사는 "버스종사자, 운수업계, 마을단위까지는 설명회 등을 열며 공감대를 형성했다"면서도 "지금 문제제기의 핵심은 해당 구간을 이용하는 운전자들이다. 이들에 대한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고 말했다.
오 지사는 "절차상의 설명을 드리는 과정에서 부족함이 있었던 부분에 대해서는 도민들께 양해를 구한다"며 "서광로 BRT를 하며 속도향상 성과도 있었다. 성과와 도민의 비판을 동시에 반영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이날 마지막 도정질문에서 양영수 의원은 상급병원 계획을, 양용만 의원과 양병우 의원은 육상양식장 고수온 대응방안을, 정이운 의원은 제주형 미래산업 육성 방안을, 임정은 의원은 서귀포의료원 재정 위기 극복 방안을 질문했다. 도의회는 17일부터 18일까지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을 대상으로 교육행정질문을 이어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