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밤중에 한라산에서 산불이 났다고 가정을 해보자. 불이 난 곳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고 더욱이 바람 마저 거세게 분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도내에 산불진화용 대형헬기의 도입이 절실함에도 지방재정의 어려움 때문에 관련 당국이 난색을 표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관련당국이 세운 대비책이라면 산불이 났을 경우 다른 기관과 지역으로부터 헬기 지원을 받고, 산불이 확산되면 전남 영암에 있는 산림청 헬기를 추가로 투입해 진화에 나선다는 것이다. 또 건조주의보가 3일 이상 발령될 경우에는 산림청 대형헬기 1대를 기동 배치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제주도에는 한라산과 오름 3백60여 개가 있다. 산림면적이 대략 5400ha에 이르고 있지만 산불 진화를 위한 당국의 태도는 매우 소극적으로 팔짱만 끼고 있다.

현실적으로 도내에서 산불이 났을 경우 지형 상 소방차의 진입은 거의 불가능하다. 특히 한라산과 그 가까이 있는 오름은 더욱 힘들다. 그렇다고 자체 산불진화용 헬기를 갖고 있지도 않다. 설령 제주도지방경찰청 헬기를 지원 받는다해도 물을 실을 수 있는 용량이 7드럼(1400ℓ)정도이다. 이 헬기는 기상이 악화되거나 날이 어두워지면 뜰 수 도 없다. 영암에 있는 산림청 헬기(3400ℓ들이 용기 부착)가 날아온다 해도 도내 산불현장까지는 최소 2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사람들의 손으로 불을 진화해야 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한마디로 산불의 신속한 초동진화는 거의 불가능해 산불의 확대를 막을 수 없다는 결론이다.

산불진화용 산림청 대형헬기는 현재 전국에 32대가 배치돼 있다. 제주도는 이 헬기를 배정 받지 못했다면 구입이라도 했어야 했지만 예산이 없다고 발뺌한다. 헬기 도입비 운영비 격납고 시설 등에 드는 예산이 만만찮은 것은 안다. 하지만 헬기 도입에 따른 공익적인 효과를 감안한다면 예산이 없다고 타령만 할 게 아니다. 도 당국의 의지가 중요하다. 한라산은 제주도나 우리 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인 환경의 보고(寶庫)이자 보물이다. 환경을 보전하고 불의의 사고를 막기 위해 쓰는 예산을 놓고 토를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 최근 강원도의 산불 참화를 거울삼아 도 당국은 전용 헬기를 시급히 들여와야 한다.<<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