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한 지하수·자연생태·독특한 자연경관은 제주의 상징이다.청정 자연환경을 배제하고 제주비전을 얘기 할 수는 없다. 때문에 청정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과학적인 관리시스템의 도입은 당연하다.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축도 그중 하나로,우근민제주도정의 역점 시책사업이기도 하다.하지만 이처럼 중요한 시책사업이 실속이 없이 소리만 요란하다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정부가 토지·자원·환경·시설물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가지리정보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음은 주지의 사실이다.기본계획에 이어 연초에 관련법이 제정됐고 시행형이 입법예고 중이다.하지만 국가 단위 계획임에도 이에 따른 예산지원과 전문인력이 뒷받침이 안돼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특히 말만 국가단위 관리시스템이지 정부와 지방자치단 등 관련기관과의 연계마저 허술,혼선이 빚어 지고 있다고 하니 딱한 노릇이다.

 사실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은 정부계획에 앞서 제주도가 역점시책으로 오래전부터 추진해 오고 있다.도 전역에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21세기 제주개발과 보전의 준거로 활용하고 이를 통해 동북아의 거점도시로서의 성장기반을 마련한다는 원대한 계획에서다.민선 2기 우도정출범과 함께 올해 7월까지 도전역의 지하수·생태계·경관보전관리 계획 수립과 사전평가시스템 구축이 주요 내용이었다.제주도의 이같은 계획은 무엇보다 청정환경과 수자원의 안전벨트인 중산간지역의 체계적인 관리에 보다 무게를 두고 있다.그리고 그것은 환경보고인 중산간지역의 난개발 방지는 물론 지하수 오염방지를 위한 매우 바람직한 것임은 주지의 사실이다.그러나 사업마무리 시점인 지금에 와서도 전담기구는 고사하고 전문인력 조차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함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물론 국가단위 계획으로서 제주도만 특별할 수 없고,중앙정부의 지원 또한 제주도만을 특별히 지원할 수는 없는 일일지 모른다.하지만 제주도 전역의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은 국가단위 계획에 앞서 동북아거점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제주도정의 역점시책인 만큼 도정이 특별한 관심과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우선은 정부지원예산과 전문인력 확보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