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4일 회사의 부도로 노사간에 첨예한 대립이 지속돼온 것을 지켜봤다.급기야 지난 4월22일에는 시민의 발인 시내버스가 운행중단되는 사태까지 불러 일으켰다.물론 이 사태는 대중교통수단인 버스업체의 경영난과 무관치 않을 것이다.자가용차량 증가는 시내버스의 수익성을 계속 낮춰왔다는 짐작을 가능케 하는 일이었다.특히 시외곽지의 노선은 승객의 감소로 적자를 면키 어려웠을 것이다.하지만 이런 변화에 대처하지 못한 것은 업체 스스로의 잘못이다.노선조정등 교통행행정을 맡은 시당국도 해당업체와 머리를 맞대고 방안을 연구했어야 했다.
툭하면 노선결행으로 차를 기다리던 주민들은 곤욕을 치른다.제주시내의 비수익노선은 외곽지역를 경유하는 곳이다.영평·해안·봉개·도련 지역등 36개 노선에 이른다고 한다.이런 노선을 운행하는 업체엔 시가 연간 2억원의 손실보전금을 지급하고 있다.이런 관계로 업체는 대책없이 운행을 계속했고 시당국은 노선을 유지할 수 있었다.그런데 이것마저 한계상황에 다다른 것이다.이런 연유로 이제 제주시가 비수익노선에 직영방안을 검토한다는 것이다.일이 벌어진 다음에야 해결방안이 나와 아쉬운 점이다.
현실적으로 직영은 곧 적자를 떠맡음에 다름 아니다.시재정손실은 어느정도 예견되는 것이다.그렇더라도 그것이 시민에 대한 공익적인 조치인 만큼 적극적이어야 한다.또 그렇게 해서라도 외곽지 주민들의 교통불편을 해소 할 수 있다면 다행스런 일이다.그러나 직영에 앞서 마을별 교통수요의 조사와 같은 사전준비에 철저해야 할 것이다.경우에 따라선 버스의 크기를 줄이거나 시간대를 조정해 운영비용을 절약할수 있다.서울지역의 마을 버스는 그런 점에서 참고의 대상이 될수 있다.또 업체는 업체대로 재발방지를 위한 경영합리화 방안을 하루속히 마련할 것을 당부한다.<<끝>>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스릴넘치는 카지노게임을 언제 어디서나
대박찬스 바로 당신이 주인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