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농사의 휴식년제 도입은 과연 가능한 것인가.그리고 정책적 배려의 필요성은 없는 것인가.

 감귤휴식년제를 통해 제주감귤산업의 구조적 병폐를 극복하자는 제안이 적지 않은 반향을 부르고 있다.과수면적의 일정량 또는 식재본수의 일정수를 휴식시킴으로써 해거리를 방지하고,궁극적으로는 적정생산량으로 적정가격을 유지할 수 있지 않겠냐는 것이다.제주감귤농업발전연구회에서 감귤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의 설문조사 결과가 그것으로,감귤살리기가 발등의 불인 농정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설문조사에 의하면 상당수의 농가들이 감귤휴식년제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휴식년제 도입과 관련,응답자 열명중 두세명(24%)이 적극 참여 의사를 밝히고 있다. 실행이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절대다수(55.2%)가 취지에는 찬동하면서 다만 실행이 어려울 것 같다는 대답을 하고 있다.그리고 나머지 응답자들(17.7%)인 경우도 지원금이 적당하면 참여하겠다고 대답하고 있다.결론적으로 농가 절대다수의 참여와 정책적인 뒷받침 등의 보장이 있으면 해 볼만한 제도란 얘기에 다름아니다.

 새삼스런 얘기지만 한해 걸러 연례행사처럼 치르고 있는 감귤파동은 감귤의 과잉생산에 크게 터잡고 있다. 때문에 위기의 감귤산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생산물량의 조절,장기적으로는 품종의 갱신과 고품질화등 구조조정이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감귤휴식년제는 바로 생산물량조정이라는 직면한 과제의 극약처방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관심을 끌고 있다.이를테면 전 생산농가가 자신이 경영하는 과수면적의 30%를 열매 없이 휴식시키거나,과수나무 셋중 하나씩을 선택 열매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30%이상의 감산효과가 기대된다.

과거의 열매솎기나 간벌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제대로 시행만 되면 상당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생각이다.특히 한차례의 작업으로 고질적인 해거리 현상 방지는 물론 노동력의 절감등 일거 양득이 기대되는,그야말로 감귤생산 구조조정의 획기적인 방안이 아닐 수 없다.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것처럼 대다수의 농가들이 감귤휴식년제 도입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그리고 감귤류수입관세의 기금을 활용한 자금지원 또한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따라서 정책적인 배려만 따라준다면 감귤휴식년제는 결코 불가능한 일은 아니란 생각이다.<<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