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과 함께 제주지역 경제의 2대지주인 감귤산업이 붕괴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보고,제주도 당국이 전면적인 감귤산업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음은 공지의 사실이다.제주도로서는 다른 지방의 쌀과 같은 감귤이 과잉생산구조를 해소하지 않고서는 감귤산업은 더 이상 없으며,덩달아 제주의 미래도 불투명하다는 위기의식에서다. 때문에 제주도 당국은 10개년 계획으로 전체 재배면적의 10%가 넘는 3천여ha의 감귤원을 폐원시키는 계획을 갖고 있다.그러나 이같은 계획은 그 기간이 장기간에 걸친 것일뿐 아니라 재원의 뒷받침이 없이 헛돌고 있다는데 문제가 없지 않다.최소한 9백여억의 국비지원이 있어야 가능한 것인데도 국비지원 보장은 그림에 떡이 되고 있다.해마다 30여억원씩 투입해 어느 부지하세월에 감귤을 살린다는 말인가.10년간에 걸친 장기플랜에 의존하기에는 우리의 현실이 너무도 다급하다.그나마도 국고지원이 불투명한 것이기에 더욱 그렇다.따라서 당면한 위기의 감귤산업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된다.과수면적 감축의 장단기 계획과 함께 단기적인 극약처방이 절박하다는 것이다.우리는 그것이 '감귤휴식년제'가 최적의 대안임을 이미 밝힌바 있다.
물론 제주도 당국이 내년부터 본격적인 감귤휴식년제를 실시한다고는 한다.약제에 의한 낙과로 생산량을 조정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음이 그것이다.그러나 그것만으로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다.약제 살포에 의한 감산효과는 기껏해야 10만톤 안팎일 뿐더러,그나마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자칫 탁상행정에 그칠 공산이 크다.80만톤을 넘나드는 과잉생산체제에서 약제살포에 의한 휴식년제가 효과적인 방법일 수 없다.따라서 단기적인 처방으로서의 휴식년제는 일전에 제주감귤연구회등이 제안한 바 있는 감산방법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감귤나무 셋중 하나에서 열매를 완전히 제거하는 30% 감산방법이 그것이다.제주도 당국이 적극적인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끝>>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스릴넘치는 카지노게임을 언제 어디서나
대박찬스 바로 당신이 주인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