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중·고교 사회과 교사들의 ‘4·3세미나’가 1일 오후 2시30분 제주교육박물관 강당에서 열렸다.

 제주도중등사회과교육연구회(회장 강위인)가 주최한 이날 세미나는 ‘제주4·3의 이해’라는 주제 아래 강창일(배재대 교수)·김영훈(제주도의회 부의장)·고문승(제주산업정보대 교수)씨의 주제발표와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강창일 씨는 「제주4·3 진상규명운동의 성격과 의미」 라는 발표를 통해,“4·3사건은 미군정시대에 남북분단을 확정짓는 5·10단독선거를 거부하는 운동을 직접적 계기로 하여 발생한 무장봉기와 그에 대한 무자비한 초토화작전에 의해 생긴 사건이며,동서냉전 형성과정에서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 하에 자행된 양민학살 사건”이라고 말했다.

 김영훈 씨는 「제주4·3 해결을 위한 노력과정과 전망」을 통해 “제주도의회에서 접수한 피해신고를 보면,10세 이하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도 각각 676명,706명을 차지해 무차별 학살을 입증하고 있다”고 말하고 “2000년 2월말 현재 접수된 피해자 수는 1만4841명이지만,4·3특별법 제정 이후 신고가 늘어나고 있다”고 소개했다.

 「제주4·3과 4·3특별법」이란 주제발표를 한 고문승 씨는 복사해 온 여러 자료들을 소개하면서 “4·3은 내란이며 그 과정에서 과잉진압이 있었다”고 말했다.고씨는 특히 4·3당시 육지형무소로 끌려갔다가 한국전쟁 때 희생된 사람들의 명단이 적힌 ‘수형인명부(受刑人名簿)’를 근거로 들면서 “재심을 통해 무죄판결을 받으면 모를까 그 전까지는 이들을 ‘희생자’로 분류해선 안된다”고 말했다.

 그런데 주제발표들은 모두 4·3의 역사를 본격적으로 취급한 것이 아니라 주로 4·3이후의 일들을 다룬 부수적인 주제여서,학교 현장에서 교육을 담당할 교사들의 궁금증을 채워 주기에는 미흡한 주제선정이었다.

 한편 질의응답 시간에는 뜨거운 논쟁이 벌어져 4·3이 민감한 주제임을 실감케 했다.무장대에게 가족이 살해됐다는 한 유족은 주제발표를 한 강창일 씨에게 “민중사적 입장에서 접근한다고 했는데,4·3때는 민중이 민중을 죽이는 주민끼리의 학살극”이라며 따졌다.

 한 교사는 고문승 교수를 향해 “여러 자료들을 소개했지만 이는 모두 4·3과 북한과의 연계를 강변하려는 억지에서 비롯된 것이며,4·3발발 때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전인데 어떻게 내란이라는 표현을 쓰느냐”고 따졌다.또다른 교사는 고문승 교수에게 “미군정을 합법정부라고 단정한 근거가 무엇이냐”고 반문하는 등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김종민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