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기어이 ‘케이블카 태스크포스팀’을 가동했다.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 여부를 재검토하기 위해서다. 그렇다면 도는 아직도 케이블카 설치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인가.

여기에는 몇가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 첫째는 과연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도의 의지가 확고하느냐는 것이다. 그렇게 케이블카에 목맬 정도라면 지금까지 무얼하고 있다가 뒤늦게야 야단법석을 떠는 것인가.

도는 작년 12월10일 환경부가 ‘한라산 국립공원내 케이블카 설치 허가신청’을 반려할 때까지도 아무런 액션을 취하지 않아왔다. 김태환지사가 지난 6·5재선거 당시 “ 환경부의 결정에 따르겠다”고 공약한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 도가 이제와서 해묵은 케이블카 논쟁에 다시 불씨를 지피는 것은 웬 까닭인가.

만일 김도정이 케이블카를 설치할 의지가 애초부터 있었다면 환경부 결정이전에 관철을 위한 설득에 주력했어야 한다. 하지만 여태껏 김도정이 이를 위해 중앙으로 뛰어다녔다는 소리를 들어보지 못했다. 그래놓고 버스가 다 지난 뒤에야 손을 드는 것은 아무래도 석연치 않다. 케이블카 찬성론자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술책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두 번째 의문은 태스크포스팀 운영의 필요성이다.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장·단점은 오랜 논쟁을 거치면서 확연히 드러났다. 더 이상 시끄럽게 떠들지 않아도 알만한 사람은 다 알 정도이다. 그런 마당에 굳이 태스크포스팀을 가동하는 것은 다분히 면피용이라는 지적이다. ‘여미지 식물원 대책위원회’처럼 가부 결정의 책임을 전가하기 위한 모양갖추기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세 번째 의문은 모노레일카 설치를 위한 전략이 아니냐는 점이다. 태스크포스팀 운영 목적을 들여다보면 그런 냄새가 곳곳에서 풍긴다.‘삭도 설치가 곤란할 경우 여타 지역 검토’라는 꼼수까지 두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 의문은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의도가 사실이라는 가정하에서 제기된다. 그렇다면 도가 이에 죽어라 매달리는 이유는 어디에 있는가. 좀체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다.

한라산 케이블카는 도민적 합의에 실패한 사안이다. 분열과 갈등만 낳아 지역발전에도 걸림돌로 작용해왔던게 사실이다.

이런 와중에 내려진 환경부의 결정은 여러해를 끌어온 소모적인 논쟁에 종지부를 찍을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 그런데도 도는 역대 도정과 마찬가지로 아직도 이 문제를 훌훌 털어내지 못하고 있다. 무엇때문에 그토록 집착하는 것인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물론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는 역기능만 있는게 아니다. 침체된 관광산업 진흥에 기여하는 순기능도 많다. 그러나 그러한 대의명분을 걸고 케이블카를 설치하려면 도민공감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행정계층개편에 따른 도민투표를 도민공감대 형성이후에 추진하겠다는 김도정이 어째서 케이블카 문제는 그러질 않는 것인지 그또한 의문이다. 비전문가를 포함한 몇 명의 구성원들이 도민전체의 의견을 대변할 수는 없는 것이다.

지금 제주도정에는 화급을 다투는 현안들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다. 이런 마당에 다시 한물간 케이블카 문제로 왈가왈부하는 것은 아까운 에너지만 낭비하는 것이다. 도민사회의 대통합을 위해서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진성범, 주필>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