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지역경기 부양대책을 마련키로 했다.퍽 다행스런 일이다.시중에는 본도는 이제부터 IMF라는 자조가 여기저기서 들린다.그만큼 지역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다는 반증이다.특히 1차산업인 농업분야의 유통기반이 매우 취약해 수확철마다 희비가 갈린다.그런데도 경제대책중 농촌지역은 영농자금 상환연장이라는 단골메뉴밖에 올라있질 않다.이같은 농촌의 경기부양대책은 실질적 효과에 대한 의문을 남긴다.농가에 대한 지원은 사실상 1년간 빚독촉은 하지 않겠다는 소리에 지나지 않는다.이번 영농자금은 또 빚으로 충당해야 하는 악순환을 감내하라는 말밖에 되지 않는다.
지난해 기간산업인 감귤값이 사상 유래없이 하락했다.올들어서도 봄감자의 가격폭락 등으로 농촌경제가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본도의 농업의존도는 다른 지역과 구별된다.전업농이 인구의 30%를 웃돌고 겸업농을 합하면 상당수의 인구가 농사에 의존하고 있다.실상은 말이 겸업농이지 농산물은 가계의 주요 소득원이 된다.부지런한 도민성과 열악한 도내 경제환경에다 상대적으로 많은 드는 교육비등은 겸업농의 수를 늘리는 요인이 된다.농촌경제의 부진은 이만한 인구의 구매력을 잃게 된다.도시지역 경기부양책 못지 않게 농산물의 수급대책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하는 대목인 것이다.
감귤은 농가를 중심으로 휴식년제 도입등 과잉생산으로 인한 가격하락을 방지하려는 노력들이 나오고 있다.과수를 제외하면 농작물은 보관기간이 비교적 길다.비축수매가 가능한 것들인데도 외면당하는 현실은 안타까운 것이다.그렇다고 이것만이 최선이라며 고집하려는 게 아니다.농협이나 정책당국은 취약한 유통구조 개선 등 실질적 방안마련에 노력해야 한다는 주문이다.<<끝>>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스릴넘치는 카지노게임을 언제 어디서나
대박찬스 바로 당신이 주인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