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전자.철강 등 점진적 증가전망

의류.농산물은 내수타격 우려

중국의 WTO 가입이 가시화되자 국내 주요 업종 관계자들은 이에 따른 손익을 따지면서 대체로 실보다는 득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기업 관계자들은 중국이 큰 잠재력을 가진 시장이면서도 그동안 높은 수입장벽으로 접근이 어려웠지만 이번 미·중 합의로 거대한 수출시장이 열리게 됐다는 기대감 속에 향후 이 시장에서 세계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질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이 WTO 가입으로 해외에서 한국의 수출 시장을 잠식할 것이라는 우려도 없지는 않지만 당분간 큰 타격은 없을 것이란 전망이 대부분 업종에서 우세하다.
의류와 농산물 등 일부 업종에서는 내수시장에서 중저가 중국산 제품이 판을 치게될 것을 경계하는 분위기도 보이고 있다.
◇자동차=한국자동차공업협회 김소림 부장은 “향후 10년간 세계 시장에서 1500만대의 신규 수요가 발생하고 이중 300만∼400만대가 중국에 집중될 것”이라며 “중국의 WTO 가입으로 한국차의 중국 시장 진출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장은 “중국 정부의 지속적 규제로 공장 건설을 통한 직접 진출은 어렵더라도 수입관세가 대폭 낮아져 이 시장 주력차종인 중형차급에서 가격경쟁력을 가진 한국차의 수출이 크게 늘 전망”이라며 “특히 국내 부품업체들의 수출 전망이 매우 밝다”고 설명했다.
◇전자=중국이 현재 가전제품을 비롯한 공산품에 대해 평균 30%의 높은 관세율을 부과했으나 WTO가입으로 순차적으로 15% 이하로 떨어질 전망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관세장벽 때문에 중국시장으로의 수출에서 경쟁력이 없었던 제품들의 경우 수출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높은 고품질의 고가제품, 예컨대 대형TV와 다기능 VCR, 대형냉장고 등의 중국 수출이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이는 한국상품뿐만 아니라 미국과 일본, 여타 동남아시아 상품에도 함께 적용되는 혜택이기 때문에 그만큼 중국시장에서 경합은 치열해진다.
한편으로 국내 전자업체들은 이미 중국현지에 소형TV와 전자레인지, 오디오 등의 분야에서 합작투자를 통해 현지공장을 가동하고 있어 중국의 관세인하로 이들 현지합작업체들이 수입품과의 경합으로 다소간 피해를 볼 수도 있다고 LG전자 통상조사팀의 이행일 수석부장은 지적했다.
◇석유화학=중국의 관세율 인하에 힘입어 에틸렌과 HDPE, LDPE 등의 대중국수출이 큰폭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현행 16∼18%인 플라스틱 수입관세율이 WTO 가입후 5년내 5∼8% 수준으로 인하되는 것을 비롯해 오는 2005년에 가면 석유화학 중간제품과 최종제품의 평균 수입 관세율이 각각 5.5%, 6.5%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폴리에스테르칩도 중국이 현재 쿼터제를 통해 수입을 제한하고 있으나 이후 비관세장벽이 철폐되고 수입관세율도 현행 16%에서 점진적으로 인하돼 2005년에는 6.5% 수준으로 낮아질 것으로 보여 수출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업계는 예상했다.
중국의 향후 10년간 생산시설 증가율은 7∼8%로 예상되고 있으나 실제 수요는 연간 20% 안팎으로 증가될 것으로 보여 당분간 우리 석유화학 제품의 수출에는 중국의 WTO 가입이 호재다.
◇철강=중국이 점진적인 관세율 인하와 수입규제 제도의 완화를 추진하게 되면서 특수강과 냉연 등 고급강을 위주로 중국 수출이 늘어날 전망이다.
중국은 자국 생산이 어려운 고급재 위주로 수입을 해왔으며 자국 생산이 가능한 일반강 등 저급재는 수입을 엄격하게 통제해 왔는데 이같은 기조가 크게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국 수출의 경우 현재 미국 업계가 수입을 막기 위해 공동으로 강력하게 대응하고 있는 만큼 중국이 대미수출을 강화한다 하더라도 지금과 많은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섬유=산업연구원 이재덕 박사는 “최근 화섬직물 수출 시장이 홍콩에서 중국으로 이동하는 추세”라며 “중국의 WTO 가입으로 폴리에스테르 등 화섬원사 수출이 더욱 늘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우리 업체들의 의류 수출이 늘고 있는 미국시장에서도 별 타격은 없을 것으로 이 박사는 전망했다. 그는 “국내업체들이 멕시코 등 북미 자유경제지역내에 생산기지를 마련해 놓고 있어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내수시장에서는 중국산 중저가 의류제품의 시장 잠식이 다소간 우려된다.
◇농산물=지난해 7억달러어치의 중국산 농산물이 쏟아져 들어왔지만 중국의 WTO 가입에도 불구하고 수입량이나 추가개방과 관련해 급격한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과거 한중간 MFN(최혜국 대우 원칙) 합의에 따라 우리나라가 중국에 대해 WTO 회원국이 아니어도 다른 WTO 가입국과 동일한 관세혜택을 해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단지 찐쌀, 메주 등 6개 중국산 농산물에 대해서만 WTO 양허범위내에서 조정관세를 매겨 급격한 유입을 막아왔는데 앞으로 중국은 이같은 조정관세를 낮춰달라는 요구를 해올 가능성이 있다. 이와함께 중국이 우리 국민이 선호하는 중단립종 쌀 재배면적을 급격히 늘리고 있어 장기적으로 중국산 쌀의 급격한 유입도 우려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