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인수위 참여 인사 110명 중 제주출신 2명
참여정부 시절 10여명 청와대 입성 때와 사뭇 달라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는 최근 국정 아젠다를 제시하고 국정 로드맵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부처에서 파견된 전문위원 등을 포함해 모두 110여명으로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구성, 운영하고 있다.
이번에 구성, 운영되고 있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향후 5년간 대한민국을 이끌 이명박 정부를 만드는 사람들로 사실상 국정운영의 핵심 인맥인 셈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참여 인사의 지역별 분포도를 보면 대구·경북이 28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 23명, 경남·부산 22명, 충남·북·대전 13명, 전남·북·광주 12명, 제주와 강원은 각각 2명이다.
제주출신으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참여하는 인사는 현인택 외교·통일·안보분과위 인수위원과 임재현 수행비서관이 유일하다.
문제는 이명박 정부에 참여하는 제주출신 인사가 참여정부에 비해 대폭 축소될 경우 지역 현안 처리가 난관에 봉착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참여정부 출범후 제주출신 인사 10여명이 청와대에 대거 등용돼 제주와 중앙정부의 연결 고리 역할을 담당했던 점에 비춰볼 때 이런 걱정이 앞서는 것도 당연하다.
특히 이명박 정부에 제주출신 인사들의 참여가 저조하면 지역 현안 처리가 다른 자치단체에 비해 후순위로 밀리거나 배제될 가능성도 높아 제주와 중앙정부간 연결고리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제주특별자치도가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제주공약 가운데 우선 순위를 선정, 중앙정부와 꾸준한 절충을 벌이는 등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현민철 기자 freenation@jemin.com
현민철 기자
freenation@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