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이 13일 미국에서 수전 슈워브 미 무역대표부(USTR)대표를 만나 쇠고기 추가협상을 갖기로 한데 대해 한나라당과 통합민주당은 환영의 뜻을 밝히고 "실질적 결과를 가져오라"고 주문했다.

그러나 자유선진당과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등 다른 야당들은 "재협상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며 냉소적인 반응을 보여 야권 내에서도 온도차를 느끼게 했다.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은 12일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양국간 통상교섭 부문의 최상위 책임자들이 만나는 만큼 30개월령 이상의 쇠고기가 수입되지 않도록 국민 여망에 걸맞는 실질적 결과가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민주당 차영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30개월 미만의 쇠고기를 들여오면 되지 않느냐는 주장을 반복하지 말고 진심으로 국민이 재협상을 통해 원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라"며 "국민이 인정할 수 있는 협상을 하라"고 요구했다.

차 대변인은 또 "국민은 자장면을 시켰는데 면만 가져오거나 종업원을 바꾸겠다는 동문서답을 그만 두고 초심으로 돌아가 광화문의 촛불을 기억하며 협상에 임하라"며 "국민이 원하는 바를 실천하는게 이 정권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재협상이라는 지름길을 놔두고 언제까지 국민을 기만하며 우롱하려는지 정부 관리들이 가련하기까지 하다"며 "재협상만이 유일한 해결책임을 정부는 빨리 인식하고 인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대변인은 "구체적인 내용도 없이 주요 내용을 발표할 것처럼 예고하면서 국민을 또 다시 우롱한 처사에 분노를 느낀다"며 "미국에서 구걸 외교를 펼치고 있는 쇠고기 대표단을 구출하기 위해 김 본부장이 내일 미국에 가서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소상히 밝히라"고 요구했다.

민주노동당 박승흡 대변인은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30개월 이상 쇠고기 교역 금지를 문서로 보증할 수 없다는 전제하에 벌이는 협상이 무슨 효용이 있겠느냐"며 "시간 벌기용 단기 대응으로 밖에는 해석이 안 된다"고 일축했다.

박 대변인은 "추가 협상을 벌이더라도 한나라당 방미단 처럼 정치적 쇼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실효성과 구속력을 가지는 합의 정도는 도출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창조한국당 김석수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추가협상을 벌이겠다는 긴급 기자회견은 국민 분노를 달래기에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며 "재협상 요구를 무시하고 국제외교관례 운운하는 행태가 더욱 더 국민 분노를 사고 있다는 현실을 직시하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