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 제주시 연삼로로 장소를 옮겨가 보자.대도로변 한쪽에는 새천년 성산일출제를 알리는 깃발이 나부끼고 맞은편 쪽에는 새천년 제주시민대화합축제를 홍보하는 깃발 이 휘날리고 있음을 볼 수 있을 것이다.밀레니엄 행사를 두고 도와 시군간 사전조율 없이 각각 추진함으로써 중복개최되는 결과를 낳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 임에 다름 아니다.
 이렇듯 지방자치 이후 도·시군간 갈등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많아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이같은 갈등은 여러 분야에서 현실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시책이나 도단위 시책보다는 시·군정방침이 우선되는 듯한 인상을 주고 시· 군-시·군의회,도-도의회등 다단계 정책결정 과정으로 도·시군 공동추진사업이 지연 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광역쓰레기소각로 시설 사업이 지연되고 최근 광역 상수도 사업이 제주시의회를 비롯한 시·군의회에서 제동을 걸고 나서고 있는 것이 한 예이다.
 사실상 도단위 사업임에도 시·군정서 등을 이유로 소극적이거나 불참하고 관광홍 보물 또한 자치단체마다 10여종이나 발행되고 있음도 이같은 현상의 부산물이다.  더구나 관선시대에 활발하던 공무원 인사교류마저 이제는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 짐으로써 도·시·군간의 벽은 더욱 높아져만 가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과 연관시켜 제주도를 하나의 특별자치도로 추진 해야 한다는 논리가 설득력있게 제기되고 있다.
 가까운 나라 일본도 지방자치단체 행정통합 바람이 거세다고 한다.이러한 현상은 일본뿐 아니라 선진국 대부분이 각 자치단체간 이해를 뛰어 넘는 특별자치단체를 구 성,행정의 효율성을 기하고 지역이기주의를 허물고 있다고 한다.  이제는 지방행정조직도 지역이 처한 여건과 상황에다 지역의 특수성과 잠재력,주민 의 요구와 기대 등에 부응하여 지역문제 해결에 가장 적합하고 지역의 행정수요에 가 장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형태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는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할 것이다.
 세계지도를 펴놓고 보라.제주도는 점 하나로 표시돼 있다. 인구도 고작 50만여명 남짓이다.한반도 인구는 6000만명에 육박하고 세계인구는 60억명을 이미 넘어섰다.언 제까지 이 좁은 생활공간에서 아옹다옹하며 살아야 하는가.대망의 2000년대에는 진정 으로 세계화에 부응하고 제주가 하나되는 행정구역 개편문제가 공론화했으면 한다. <윤정웅·정치부장><<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