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경관이 미래다> 제3부 제주경관을 이야기하다 <33>도시개발과 스카이라인

60·70년대 정부 주도하에 추진된 관광개발 등으로 도시화와 산업화를 맞은 제주는 택지개발과 토지구획정리사업을 통해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했다.

지난 1954년 제1지구(현 제주시청 일대)를 비롯해 진성동·삼성혈 지구, 신제주 1·2·3지구 화북지구, 삼양·외도 지구, 시민복지타운 등이 마무리됐다. 이도2지구, 아라지구, 노형2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추진중이다.

이처럼 도시 규모를 팽창시킨 도시개발사업은 주택보급률 향상과 건설경기 활성화에 기여했으나 제주시 인구 집중화와 지역 불균형, 경관 파괴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했다.

이같은 부작용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도2지구의 공동주택용지 1필지를 팔기 위해 고도 제한을 23m에서 40m로 완화해 다른 공동주택(15m)·단독주택(10m)과 확연히 차이가 나면서 경관 훼손은 불가피해졌다.

이는 주변 건물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나홀로 고층 아파트’가 건립돼 스카이라인이 파괴되는 형태로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노형2지구도 사정은 비슷하다. 제주시는 노형2지구 개발계획 변경(안)을 수립하면서 도로와 보행자 도로 등 공공시설용지를 줄이는 대신 공동주택용지를 신설했다. 때문에 ‘고층 아파트와 저층 건물’이라는 부조화를 초래, 스카이라인 훼손와 쾌적한 주거환경 서비스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또 자동차의 이동과 통행, 속도를 중심으로 바둑판 형태의 도시개발계획이 이뤄지면서 녹지공간과 인도는 줄어드는 등 사람이 살기 위해 만들어진 도시의 중심에 자동차가 서 있는 꼴이 돼가고 있다.

도시의 허파인 공원이 도로로 둘러쌓인 곳에 배치돼 시민들이 자동차의 눈치를 보면서 공원을 오가고 있다. 접근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지 못했다.

도시개발사업이 수익성에 치중된 고도 완화, 자동차 이동을 위한 도시 계획, 공동주택용지 신설 등으로 이뤄지면서 도시 경관은 경제 논리에 따라 춤을 추고 있다.

이는 우선 체계적인 개발에 대한 원칙과 철학이 부재했기 때문이다. 수도권의 택지개발사업 계획을 제주도에 적용, 지역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개발 방식을 도출하지 못했다. 때문에 서울과 제주의 주거 문화가 획일화되는 양상을 띠게 됐다.

제주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고민없이 단순히 다른 지역에서 적용됐던 개발 방식을 그      대로 수용, 차별성을 잃어버리는 등 도시에 ‘제주’를 전혀 담아내지 못했다. 세계의 여느 도시가 경험했던 전철을 밟아가고 있다.

자연·문화에 대한 고민도 없이 개발의 편의성만을 고려해 부지를 깨끗하게 밀어내고 새롭게 건축물을 짓고 나무를 심고 있다. 이른바 ‘싹쓸이(Scrape and Built) 방식’이 자행되고 있다.

이와는 달리, 일본은 도시 곳곳에 조성된 녹지공원을 보행자 전용도로로 연결시켜 도시공간의 쾌적성과 시민 안전성·이동성을 확보했다.

또 신도시를 개발하면서 도로를 완만한 곡선 형태로 만드는 등 자동차의 속도를 줄이는 장치를 마련, 보행자들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도시 개발은 이뤄져왔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한다. 도시 개발의 부작용을 막기 위해 깨끗한 거리, 질높은 주거 환경, 녹지 공간 등 도시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려는 자치단체·전문가·주민들의 논의와 제도적인 뒷받침이 마련돼야 한다.

김태일 제주대 교수(건축학부)는 “공동주택용지의 고도 완화는 수익성 창출에 도움이 되겠으나 도시 개발에 일관성을 잃으면서 스카이라인을 훼손할 것”이라며 “자연적인 지형과 역사·문화를 고려한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해 제주의 풍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