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감귤살리기, 실천이 문제다 (2)무임승차는 공멸행위
올해산 노지온주 생산예상량이 최대 70만t에 이르는 풍작이 예상, 감귤산업도 비상사태에 준하는 재난이 우려되고 있다. 가격안정에 따른 적정생산량 58만t을 유지하기 위해 12만t을 감산하는 1/2간벌, 감귤안정생산직불제가 추진되고 있지만 목표 달성은 불투명한 실정이다. 감산시책에 편승, 소득향상을 노리는 농가의 '무임승차'행위가 근절되지 않는 탓이다. 무임승차는 감귤산업 공멸 및 지역경제 악화를 초래, 농가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실천이 더디다
제주특별자치도·제주농협은 감귤산업의 위기를 탈출하기 위해 오는 7월까지 1단계 1/2간벌과 감귤안정생산직불제로 7만3000t, 2단계인 8~11월 불량감귤 열매솎기로 4만6600t을 감산키로 했다.
도·농협이 감귤산업의 발전을 위해 12만t 감산시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1/2간벌은 신청량에 비해 실천이 더딘 실정이다.
19일 도에 따르면 이달말까지 접수할 1/2간벌 신청량은 지난 18일 현재 계획면적 1200㏊ 보다 18% 증가한 1419㏊가 접수됐다.
도는 오는 3월말까지 간벌을 완료할 계획이지만 18일 현재 추진실적은 488㏊로 신청량 대비 34.4%에 불과하다.
또, 오는 5~7월 생육초기에 열매를 따낼 감귤생산안정직불제는 신청량이 651㏊로 계획면적 1666㏊의 36%에 그치는 등 농가참여가 저조, 감산시책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때문에 올해산 노지온주의 과잉생산으로 가격이 폭락, 농가들은 애써 키운 농사를 스스로 폐기하는 한편 지역경제도 악화되는 등 제주사회 전체가 고통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공직자·농감협, 감산 솔선수범
노지온주 가격은 품질관리와 함께 생산량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제주도감귤출하연합회 통계를 분석한 결과 생산량이 55만4000t, 56만8000t인 2006년·2008년산의 10㎏당 평균가는 1만3206원, 1만2700원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67만8000t의 풍작을 기록한 2007년산은 7101원에 불과, 조수입이 2006년 4702억원에 비해 2배 가까이 하락한 2300억원에 그치면서 지역경제가 큰 타격을 받았다.
이에 따라 제주도·농협은 감산시책에 참여하지 않는 농가·작목반·생산자단체 등에 대한 지원을 일체 배제키로 했다.
특히, 공직자와 농·감협 임직원은 물론 공직자 가족이 소유한 감귤원의 감산을 먼저 추진, 농가 참여를 유도시킬 방침이다.
도에 따르면 공직자(가족 포함) 소유 감귤원은 394명·256㏊(도 186명·118.5㏊, 행정시 208명·137.5㏊)로 파악됐다.
제주도 관계자는 "행정·농감협이 솔선수범, 농가들의 감산시책 참여를 요청할 것"이라며 "농협에서는 지역 농·감협별, 작목반별 감산량을 할당해 목표달성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