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홍 <전 제민일보 편집국장>
![]() | ||
신문의 생명은 비판에 있습니다. 비판은 바로 '신문의 표현'입니다. 비판기능을 상실한 신문은 이미 언론이 아닙니다. 그러나 이 '표현'이라는 말은 수단과 목적 관계에는 결코 사용될 수 없습니다. 비판은 분명 신문의 한 기능이지만, 목적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지 않습니다.
비판이 '신문의 표현'인 한, 거기에는 '참다운 언론'이 그대로 들어있습니다. 수단에 이미 목적이 들어있다는 것은 이 경우 도저히 말이 되지 않습니다. 비판을 그저 '하나의 기능에 불과하다'는 식으로 의미를 축소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그 말은 반드시 수정돼야 합니다. 그것은 오로지 '언론다운 언론의 길'입니다.
진부합니다. 그러나 부족합니다. 우리는 그동안 그것에 대해 많은 말을 했지만, 단 한번도 충분히 말한 적이 없습니다. 또다시 그것을 들어 재삼 강조하는 것은 비판 기능의 중요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오히려 '비판의 실종'을 염려하기 때문입니다.
비판은 '아님의 요소'를 찾아내는 작업입니다. 그러나 '아님'은 단순한 부정이 아닙니다. '아님'을 확인하는 것은 오류에 대한 개방성을 의미합니다. 그건 발전의 토대입니다. '아님의 요소'에서 가치를 설정하는 구성력에 의미를 두는 것도 바로 그것 때문입니다. 구성의 의미가 없는 비판은 무의미합니다.
비판의 구성력은 옳고 그름을 정확히 보는데서 비롯됩니다. 옳은 것만 보고 그른 것을 보지 않는 것이 비판이 아니듯, 그른 것만 보고 옳은 것을 보지 않는 것은 이미 비판의 바른 자세가 아닙니다. 기기엔 그저 '맹목적인 비난'이 있을 뿐입니다.
비판은 정직해야 합니다. 비판의 참다운 의미는 엄격함과 순수함에 있습니다. 정직하지 않은 마음을 가지고선 바른 것을 볼 수 없습니다. '깨끗한 손'으로 기사를 써야 합니다. '불순한 의도'는 결코 용납되지 않습니다. 오직 '진실'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진실에의 충성'입니다.
저는 무엇보다도 '비판을 위한 비판'을 경계합니다. 비판을 제대로 하려면 소재가 알맞고 논리가 탄탄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면 편견이라는 말을 듣습니다. 그것은 전체를 균형있게 보지 못하는 오류 그 자체입니다. '아님의 요소'를 찾아낸다고 하여 지나친 흑백논리로 사안을 읽는 자세도 좋지 않습니다. 시각을 어떤 구조의 단편에만 고정시키는 것은 한낱 '비난'일 뿐, 이미 비판은 아닙니다.
'특정인과 결탁한 비판'도 좋지 않습니다. 여기서 특정인은 '비판의 반사적 이익을 노리는 사람들'입니다. 아무리 소재가 알맞고 비판의 논리에 흠결이 없다고 하더라도, 그런 사람과 결탁한 비판은 일종의 협잡질입니다. 그것 자체가 허위입니다. 취재기자가 그것을 의식했든 아니든, 그 평가는 다르지 않습니다.
'위장된 비판'도 좋지 않습니다. 일정한 선을 그어놓고, 그 이상을 넘지 않는 비판은 사이비입니다. 그건 정말 고약합니다. 여기서 묵계여부는 중요치 않습니다. 본질문제에는 애써 눈을 감아버리고, 지엽적인 문제에 일부러 큰소리를 내는 것, 그것은 여론의 흐름을 왜곡하는 죄악입니다.
비판을 가로막는 장애요인이 도처에 도사리고 있음을 모르지 않습니다. 그럴수록 그걸 지혜롭게 극복해야 합니다. 거기에 '참다운 언론의 길'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