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양도 수중탐사] (4)물고기들의 보금자리
![]() | ||
| ▲ 비양도 포구 북동 방향 약1km 지점에 설치된 세라믹 어초. 다른 큰물고기의 먹이가 되는 자리돔, 줄도화돔 무리가 서식하고 있따. | ||
비양도 포구에서 북동 방향으로 1㎞지점에는 국립수산과학연구소 제주수산연구소에 실험 목적으로 투하한 물고기용 인공어초들이 있다.
![]() | ||
| ▲ 사다리꼴 어초의 내부.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 물고기가 숨기에 안성맞춤이다. | ||
이들 어초들 주변으로는 뱅에돔, 돌돔 등 고급 어종들이 서식하고 있고, 그 밖에 다른 큰 물고기의 먹이가 될 수 있는 자리돔·전갱이·줄도화돔이 무리지어 서식하고 있다.
이들 어초 주변으로 물고기가 모여드는 원인은 먹이감이 풍부하고, 인공어초의 구조가 복잡해 조류또는 천적으로부터 몸을 숨기기가 용이하다는 데 있다.
특히 이곳은 모래벌판이 넓게 분포하는데 인공어초를 설치하면서 감태·모자반 등 해조류가 자랄 수 있는 여건도 마련돼 사시사철 어류들이 몰려들어 낚시꾼들에게 인기있는 포인트가 되고 있다.
![]() | ||
| ▲ 반구형 인공어초는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 ||
![]() | ||
| ▲ 어초 주변에 모여든 자리돔 무리 | ||
제주수산연구소에 따르면 인공어초의 어장조성효과에서 해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자연초어장과 유사한 어획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자연초가 없는 비교어장에 비해서는 약 1.6배의 어획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제주 연안 어장확대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양도 주변에 설치된 인공어초는 섬이 파도로부터 보호를 해줘 시설한지 오랜 기간이 지나도 제 모양을 보존하고 있지만 다른 지역에 있는 인공어초들은 파도에 의해 파손되거나 모래가 묻히고 있다.
![]() | ||
| ▲ 어초 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호박돔 | ||
이 부분이 비양도 주변에서 새로 디자인된 인공어초들을 시험적으로 설치하는 이유다.
비양도라는 섬이 존재하면서 바다는 인간에게 너무나 많은 선물을 안겨주고 있다. 낮은 수심과 복잡한 수중지형은 금능·협재·옹포리 해녀들이 구간을 나눠
![]() | ||
| ▲ 인공어초 표면에 자라고 있는 해조류를 뜯어 먹는 쥐치 | ||
타원형의 섬은 겨울 매서운 북서풍을 막아 주고, 여름 비취색 바닷물과 어우러져 멋드러진 경치를 선사한다. 이것이 아낌없이 주는 비양도의 존재의 이유다. 글·사진 조성익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