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이번 총선연대의 공천부적격자 발표에 무엇보다 주목하는 것은 국민적 공감대가 어느 때보다 높은 데에 있다. 이는 총선연대가 부정부패와 선거법 위반, 반민주·반인권적 전력, 반의회·반유권자적 행태, 의정활동부실 등 여러 면에서 구체적인 기준을 통해 치밀하게 리스트를 작성한 사실에도 있지만 정치권에 대한 국민들의 개혁요구가 어느 정도인지 충분히 가늠하는 증거이다.
물론 이번 발표된 대상자 가운데는 이런 저런 이유를 들어 자신의 무관함을 주장하는 이도 있을 것이며 한편에서는 납득하기 어려운 점이나 오해된 부분도 없지 않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느 부분에서 가중치가 매겨졌건 이번 명단에 포함된 정치인은 국민들을 위한 성실한 의정활동보다 당리당략 그리고 사리사욕에 치우친 부성실한 의정활동이 낳은 결과라고 봐야 한다. 정경유착과 부정부패에 연루됐으면서도 부끄러움을 모르고 지역감정을 부추기며 표를 몰고다니는 구태는 이제 더이상 국회에서 존재케 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국민들은 이번을 계기로 정치권의 대폭적인 물갈이를 바라고 있다. 궁지에 몰린 여야에서도 어쩔 수 없이 지지입장 쪽으로 선회한 듯하다. 결국 타당하다면 상당부분을 공천에 반영할 뜻을 내비치기도 했지만 이같은 일련의 과정은 모두 자업자득이며 정치권에 대한 국민들의 변화 요구는 대세이다.
이러한 국민적 운동은 앞으로 더욱 거세질 것은 뻔하다. 앞으로 선거법이 어떤 형태로 개정될런지 지켜봐야 하겠지만 이번 공천부적격자 발표는 합법여부를 떠나국민적 의지의 소산이라는 점에서 정치권은 뼈를 깎는 자기 각성이 있어야 한다. 이같은 흐름을 옳게 읽지 못한다면 국민들은 정치에 더이상 아무 것도 기대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끝>>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스릴넘치는 카지노게임을 언제 어디서나
대박찬스 바로 당신이 주인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