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출범 1년 제주에너지공사 역할과 과제(상)

▲ 제주에너지공사는 태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은 마라도에 운영중인 태양광발전소.
해저 연계선 수급 의존…육지부 전력위기 제주에 타격
공사 '2030 카본 프리' 프로젝트 실행주체로 핵심역할
 
풍력·태양 등 신재생자원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개발해 제주환경가치를 보전하고, 제주지역의 에너지수급 체제구축과 기후변화에 대응, 에너지복지 실현 등을 위해 제주에너지공사가 지난해 7월 설립됐다. 특히 올여름 전국적으로 전력수급위기가 닫치면서 육지부로부터 전력지원을 받는 제주도까지 악영향을 받았다. 제주에너지공사가 에너지위기시대에 적극·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할과 역량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올해 모든 국민들은 본격적인 여름에 진입하전부터 '전력수급 위기'라는 불안에 떨어야 했다. 전국적인 폭염으로 예상전력수요가 급증한데다 부품비리와 고장 등 때문에 원자력발전소가 가동을 멈췄기 때문이다.
 
더구나 전력생산을 화력발전소에 의존하면서 과부하가 생겨 곳곳에서 고장을 일으키는 등 안정적인 전력생산체계에 비상이 걸렸다.
 
제주지역도 연일 최대전력수요가 갱신되면서 67만8000㎾에 육박, 도내 예비전력도 7만5000㎾을 기록하는 등 전력공급예비율은 11%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더구나 도내 최대 발전설비용량이 59만㎾에 불과해 35만㎾ 정도를 육지부에서 2개의 해저연계전력망을 통해 지원받고 있어 타지역 전력사정이 악화되면서 제주로 지원되는 전력량이 감소해 제주지역도 전력위기에 맞았다.
 
더구나 해저전력연계선이 고장 등으로 정상작동하지 않으면 대규모 정전사태가 우려되는 등 불안정한 상황이다.
 
제주는 육지부와 연결된 해저연계선과 화력발전에 의존하는 에너지수급 구조를 갖고 있어 이번 전력수급위기가 닫치면 제주지역은 곧바로 악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더구나 전력위기 해소를 위해 제주도내 화력발전소가 풀가동하면서 화석연료소비와 탄소배출량이 급증하면서 제주환경오염 우려를 유발시켰고, 탄소감소정책과 기후변화대응에 위배되기도 했다.
 
▲ 지난해 7월 제주상공회의소 3층 사무실에서 열린 제주에너지공사 출범식.
제주도가 안정적인 전력수급체계를 구축하려면 우선 에너지자립대책이 필요하고, 특히 청정환경을 보호하면서 탄소배출저감과 기후변화대응 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보급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제주도의 '카본 프리 아일랜드 제주 2030' 프로젝트의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어야 하며, 제주에너지공사가 역할과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제주도가 2030년까지 탄소배출없이 에너지자립을 이루겠다는 프로젝트의 밑그림을 그렸고, 제주에너지공사는 정책실현의 시행주체로서 역량과 권한을 더욱 강화시키고, 강력한 추진력을 가질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줘야 한다는 의견이다.
 
차우진 제주에너지공사 사장은 "제주도는 육지부와 연결된 해저연계전력망을 통한 외부지원에 의존하고 있어 육지부 전력난이 그대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제주도가 전력수급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으로 에너지자립도를 향상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차 사장은 "위험성과 환경오염 등의 문제로 화석과 원자력 에너지를 의존할 수 없기 때문에 풍력과 태양 등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모든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제주에너지공사가 설립된 것이며, 앞으로 해야 할 목표이자 반드시 실현시켜야 하는 과제"라고 말했다. 김용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