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중국 관광객 증가 명과 암 정책토론회
저가상품·무자격 가이드 등 대책수립 주문

제주 관광 이미지 개선과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숫자 채우기 식의 양적 관광정책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연구모임인 제주문화관광포럼이 주최한 '중국 관광객 증가 그 명과 암' 정책 토론회가 3일 오후 2시 의회에서 열린 가운데 이날 참석자들은 중국 관광객의 급격한 성장 뒤 숨겨진 저가 여행상품, 무자격 관광가이드·여행사 난립에 따른 시장질서 문란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토론자로 참석한 윤영국 제주관광대 교수는 이날 "중국인 관광객이 입도하면 여행사는 오히려 관광객을 송출한 중국업체엑 관광객 1인당 5만~15만원(크루즈 8~14만원, 3박4일 5만원)을 준다"며 "이러한 손해는 쇼핑에서 만회하는 등 재방문은 아예 염두에 두지 않는 관광시스템"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윤 교수는 "가이드 역시 제주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화교, 조선족이 대부분"이라며 "태국만 하더라도 외국인 단체관광버스에는 반드시 정부 자격증을 가진 가이드를 동승시켜야 하는데 제주는 그런 것도 없다"고 지적했다.
김은영 관광통역안내사 역시 "무자격 가이드가 많아도 너무 많은데, 이는 한국관광시장의 법규를 무시하는 행위"라며 "민관이 합동으로 지속적으로 단속, 결과를 공개하고 단기체류자는 입국 불허 조치를 취하는 등 강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김대훈 도 전세버스운송조합 부이사장은 "중국인 관광객의 주요 관광코스는 도 직영 무료 관광지와 토산품·면세점 쇼핑"이라며 "이러한 저가상품으로 인해 전세버스 가동률은 호전됐을지 몰라도 되레 요금은 하향 조정되는 등 부작용이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 부이사장은 이어 "숫자 채우기식의 양적 관광정책이 아니라 제주관광 전반에 걸친 실태 파악 및 대책수립이 시급하다"고 주문했다. 박미라 기자
박미라 기자
sophia33@hanmail.net


